이낙연 “김문수에 한 표 주기로…민주당, 괴물독재국가의 길 선택”
입력 2025.05.27 (11:07)
수정 2025.05.27 (14: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은 더불어민주당이 " 한 사람의 사법리스크를 없애기 위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장악하는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며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이낙연 상임고문은 오늘(2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 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제 한 표를 그에게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김 후보와 저는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운영, 제7 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총선 동시 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고문은 또 "저는 비상계엄과 잇따른 대통령 파면에 대한 성찰로서 대선 이후에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계의 대대적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그(김문수 후보)는 수긍했다"며 "저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거론했고, 그는 경청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에게 제가 수용하기 어려운 면도 있지만, 치열하고 청렴한 삶의 궤적과 서민 친화적·현장 밀착적인 공직 수행은 평가받을 만하다"며 "무엇보다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한 후보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운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고통스럽더라도 최선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라도 하자"고 국민들에게 호소했습니다.
김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 당시) 비상계엄을 결의한 국무회의에 연락받지 못했고 참석도 받지 못했다고 알며, 그 뒤로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는 것은 당연한 도리"라고 언급했습니다.
■"민주당 사랑하지만 '삼권 장악' 동행할 수 없어…기괴하고 절망적 실상 성찰해야"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서는 "저는 그들보다 민주당을 더 사랑했으면 사랑했다"라면서 "민주당에서 의무를 다하며 성장했고 기회도 누렸지만, 괴물 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사람이 입법·행정·사법 삼권을 장악하고 자신의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없앨 때까지 무리한 방법을 계속 동원한다면 그것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폭거가 될 것"이라며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도, 현직을 떠난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괴물 독재국가의 길을 따르고 있다. 민주당의 기괴하고 절망적인 실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끝으로 "민주당 DNA 속에는 삼권 장악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건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민주당이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 자기가 가는데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나쁜 사람인 것처럼 하는 게 민주당의 비극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낙연 상임고문은 오늘(2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 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제 한 표를 그에게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김 후보와 저는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운영, 제7 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총선 동시 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고문은 또 "저는 비상계엄과 잇따른 대통령 파면에 대한 성찰로서 대선 이후에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계의 대대적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그(김문수 후보)는 수긍했다"며 "저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거론했고, 그는 경청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에게 제가 수용하기 어려운 면도 있지만, 치열하고 청렴한 삶의 궤적과 서민 친화적·현장 밀착적인 공직 수행은 평가받을 만하다"며 "무엇보다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한 후보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운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고통스럽더라도 최선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라도 하자"고 국민들에게 호소했습니다.
김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 당시) 비상계엄을 결의한 국무회의에 연락받지 못했고 참석도 받지 못했다고 알며, 그 뒤로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는 것은 당연한 도리"라고 언급했습니다.
■"민주당 사랑하지만 '삼권 장악' 동행할 수 없어…기괴하고 절망적 실상 성찰해야"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서는 "저는 그들보다 민주당을 더 사랑했으면 사랑했다"라면서 "민주당에서 의무를 다하며 성장했고 기회도 누렸지만, 괴물 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사람이 입법·행정·사법 삼권을 장악하고 자신의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없앨 때까지 무리한 방법을 계속 동원한다면 그것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폭거가 될 것"이라며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도, 현직을 떠난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괴물 독재국가의 길을 따르고 있다. 민주당의 기괴하고 절망적인 실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끝으로 "민주당 DNA 속에는 삼권 장악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건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민주당이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 자기가 가는데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나쁜 사람인 것처럼 하는 게 민주당의 비극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낙연 “김문수에 한 표 주기로…민주당, 괴물독재국가의 길 선택”
-
- 입력 2025-05-27 11:07:09
- 수정2025-05-27 14:01:28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은 더불어민주당이 " 한 사람의 사법리스크를 없애기 위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장악하는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며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이낙연 상임고문은 오늘(2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 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제 한 표를 그에게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김 후보와 저는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운영, 제7 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총선 동시 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고문은 또 "저는 비상계엄과 잇따른 대통령 파면에 대한 성찰로서 대선 이후에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계의 대대적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그(김문수 후보)는 수긍했다"며 "저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거론했고, 그는 경청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에게 제가 수용하기 어려운 면도 있지만, 치열하고 청렴한 삶의 궤적과 서민 친화적·현장 밀착적인 공직 수행은 평가받을 만하다"며 "무엇보다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한 후보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운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고통스럽더라도 최선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라도 하자"고 국민들에게 호소했습니다.
김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 당시) 비상계엄을 결의한 국무회의에 연락받지 못했고 참석도 받지 못했다고 알며, 그 뒤로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는 것은 당연한 도리"라고 언급했습니다.
■"민주당 사랑하지만 '삼권 장악' 동행할 수 없어…기괴하고 절망적 실상 성찰해야"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서는 "저는 그들보다 민주당을 더 사랑했으면 사랑했다"라면서 "민주당에서 의무를 다하며 성장했고 기회도 누렸지만, 괴물 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사람이 입법·행정·사법 삼권을 장악하고 자신의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없앨 때까지 무리한 방법을 계속 동원한다면 그것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폭거가 될 것"이라며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도, 현직을 떠난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괴물 독재국가의 길을 따르고 있다. 민주당의 기괴하고 절망적인 실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끝으로 "민주당 DNA 속에는 삼권 장악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건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민주당이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 자기가 가는데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나쁜 사람인 것처럼 하는 게 민주당의 비극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낙연 상임고문은 오늘(2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 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제 한 표를 그에게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김 후보와 저는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운영, 제7 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총선 동시 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고문은 또 "저는 비상계엄과 잇따른 대통령 파면에 대한 성찰로서 대선 이후에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계의 대대적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그(김문수 후보)는 수긍했다"며 "저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거론했고, 그는 경청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에게 제가 수용하기 어려운 면도 있지만, 치열하고 청렴한 삶의 궤적과 서민 친화적·현장 밀착적인 공직 수행은 평가받을 만하다"며 "무엇보다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한 후보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상임고문은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운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고통스럽더라도 최선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라도 하자"고 국민들에게 호소했습니다.
김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 당시) 비상계엄을 결의한 국무회의에 연락받지 못했고 참석도 받지 못했다고 알며, 그 뒤로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는 것은 당연한 도리"라고 언급했습니다.
■"민주당 사랑하지만 '삼권 장악' 동행할 수 없어…기괴하고 절망적 실상 성찰해야"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서는 "저는 그들보다 민주당을 더 사랑했으면 사랑했다"라면서 "민주당에서 의무를 다하며 성장했고 기회도 누렸지만, 괴물 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사람이 입법·행정·사법 삼권을 장악하고 자신의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없앨 때까지 무리한 방법을 계속 동원한다면 그것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폭거가 될 것"이라며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도, 현직을 떠난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괴물 독재국가의 길을 따르고 있다. 민주당의 기괴하고 절망적인 실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끝으로 "민주당 DNA 속에는 삼권 장악 괴물 독재국가로 가는 건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민주당이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 자기가 가는데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나쁜 사람인 것처럼 하는 게 민주당의 비극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예진 기자 yejin.lee@kbs.co.kr
이예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