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화 여론조사 93%, 개인정보 ‘줄줄’…2018년 이후 실태조차 몰라

입력 2025.04.25 (21:19) 수정 2025.04.25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선거철에 여론조사 전화, 많이 받아보셨을 텐데요.

수집한 개인정보를 허술하게 관리한 여론조사 업체들이 2018년 정부 조사에서 무더기로 적발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당시 조사 이후 별다른 행정 조치가 없었고, 지금까지 추가 조사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성수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지난해 등록 취소된 서울의 한 여론조사 업체.

응답자 명단과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들이 책상 위에 그대로 놓여 있습니다.

사무실 바깥 복도에서도 유리문을 통해 훤히 들여다보입니다.

등록 취소된 또 다른 여론조사 업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이번엔 주거용 오피스텔이 나옵니다.

[오피스텔 관리인/음성변조 : "(여론조사 업체 있던 것 알고 계세요?) 전혀 모르는데 상호를 붙여놓으면 몰라도"]

이렇게 부실 운영 등으로 등록 취소된 여론조사 업체가 지난해에만 30여 곳에 달합니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 제7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 업체들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했습니다.

비공개 상태였던 당시 조사 결과를 KBS가 확보해 보니, 업체 15곳 중 14곳, 93%가량에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포착됐습니다.

수집한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지 않거나, 개인정보를 웹하드에 올려 외부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보유 기간이 지나도 정보를 파기하지 않은 업체 등도 확인됐습니다.

[김명주/서울여대 정보보호학부 교수 : "범죄하는 데 사용이 될 수도 있죠. 그 개인 정보를 가지고 다른 나쁜 목적으로 악용할 수도…"]

당시 적발된 업체들은 자체 개선을 했단 이유로 별다른 행정 조치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선거 때도 여론조사 업체들이 난립했지만, 개인정보 관리 실태에 대한 정부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상용/서울 중구 : "(여론조사 업체) 직원들이 그걸(개인정보를) 매매했다는 뉴스도 제가 접했거든요. 이게 좀 심각하구나. (관리) 강화가 됐으면 좋겠네요."]

이번 대선을 앞두고도 각종 여론조사들이 잇따를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 차원의 실태 조사는 여전히 계획된 게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김영환/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전화 여론조사 93%, 개인정보 ‘줄줄’…2018년 이후 실태조차 몰라
    • 입력 2025-04-25 21:19:11
    • 수정2025-04-25 22:32:32
    뉴스 9
[앵커]

선거철에 여론조사 전화, 많이 받아보셨을 텐데요.

수집한 개인정보를 허술하게 관리한 여론조사 업체들이 2018년 정부 조사에서 무더기로 적발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당시 조사 이후 별다른 행정 조치가 없었고, 지금까지 추가 조사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성수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지난해 등록 취소된 서울의 한 여론조사 업체.

응답자 명단과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들이 책상 위에 그대로 놓여 있습니다.

사무실 바깥 복도에서도 유리문을 통해 훤히 들여다보입니다.

등록 취소된 또 다른 여론조사 업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이번엔 주거용 오피스텔이 나옵니다.

[오피스텔 관리인/음성변조 : "(여론조사 업체 있던 것 알고 계세요?) 전혀 모르는데 상호를 붙여놓으면 몰라도"]

이렇게 부실 운영 등으로 등록 취소된 여론조사 업체가 지난해에만 30여 곳에 달합니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 제7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 업체들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했습니다.

비공개 상태였던 당시 조사 결과를 KBS가 확보해 보니, 업체 15곳 중 14곳, 93%가량에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포착됐습니다.

수집한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지 않거나, 개인정보를 웹하드에 올려 외부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보유 기간이 지나도 정보를 파기하지 않은 업체 등도 확인됐습니다.

[김명주/서울여대 정보보호학부 교수 : "범죄하는 데 사용이 될 수도 있죠. 그 개인 정보를 가지고 다른 나쁜 목적으로 악용할 수도…"]

당시 적발된 업체들은 자체 개선을 했단 이유로 별다른 행정 조치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선거 때도 여론조사 업체들이 난립했지만, 개인정보 관리 실태에 대한 정부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상용/서울 중구 : "(여론조사 업체) 직원들이 그걸(개인정보를) 매매했다는 뉴스도 제가 접했거든요. 이게 좀 심각하구나. (관리) 강화가 됐으면 좋겠네요."]

이번 대선을 앞두고도 각종 여론조사들이 잇따를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 차원의 실태 조사는 여전히 계획된 게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김영환/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