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관세 10%, 경제 규모 따라 더 높은 관세율”…위성락 또 방미
입력 2025.07.21 (17:18)
수정 2025.07.21 (1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시점이 열흘 남짓 남은 가운데, 미 상무장관은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고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은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는 막바지 협상을 위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다시 미국에 보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현지시각 20일 미국 CBS 방송 인터뷰에서 관세 부과 연기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달 초부터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에 명시된 것처럼 8월 1일부터 새로운 관세가 적용된다는 겁니다.
러트닉 장관은 그러면서 라틴아메리카나 카리브해, 아프리카 등의 경제 소국에는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겠지만, 경제 규모가 큰 나라들에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CBS 인터뷰 : "(기본 관세)10%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20%와 19%를 내듯이 많은 나라가 더 많이 낼 겁니다. 대부분의 나라가 더 많이 내게 될 겁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경제를 개방하는 나라와는 더 좋은 협정을 맺을 것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25%의 상호관세율을 통보받은 상태입니다.
협상 시한이 열흘 남짓 남은 막바지 상황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현지 시각 20일 다시 미국을 찾았습니다.
이달 초와 마찬가지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상대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는 물론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금이나 한미 정상회담 등도 협상 의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취임 6개월을 맞아 미국 CBS 방송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업무 지지율은 42%로 나타났습니다.
2월 초 조사 때보다 10%포인트가량 낮아졌는데, 특히 관세 정책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60%가 반대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시점이 열흘 남짓 남은 가운데, 미 상무장관은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고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은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는 막바지 협상을 위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다시 미국에 보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현지시각 20일 미국 CBS 방송 인터뷰에서 관세 부과 연기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달 초부터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에 명시된 것처럼 8월 1일부터 새로운 관세가 적용된다는 겁니다.
러트닉 장관은 그러면서 라틴아메리카나 카리브해, 아프리카 등의 경제 소국에는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겠지만, 경제 규모가 큰 나라들에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CBS 인터뷰 : "(기본 관세)10%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20%와 19%를 내듯이 많은 나라가 더 많이 낼 겁니다. 대부분의 나라가 더 많이 내게 될 겁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경제를 개방하는 나라와는 더 좋은 협정을 맺을 것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25%의 상호관세율을 통보받은 상태입니다.
협상 시한이 열흘 남짓 남은 막바지 상황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현지 시각 20일 다시 미국을 찾았습니다.
이달 초와 마찬가지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상대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는 물론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금이나 한미 정상회담 등도 협상 의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취임 6개월을 맞아 미국 CBS 방송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업무 지지율은 42%로 나타났습니다.
2월 초 조사 때보다 10%포인트가량 낮아졌는데, 특히 관세 정책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60%가 반대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본관세 10%, 경제 규모 따라 더 높은 관세율”…위성락 또 방미
-
- 입력 2025-07-21 17:18:10
- 수정2025-07-21 17:35:43

[앵커]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시점이 열흘 남짓 남은 가운데, 미 상무장관은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고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은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는 막바지 협상을 위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다시 미국에 보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현지시각 20일 미국 CBS 방송 인터뷰에서 관세 부과 연기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달 초부터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에 명시된 것처럼 8월 1일부터 새로운 관세가 적용된다는 겁니다.
러트닉 장관은 그러면서 라틴아메리카나 카리브해, 아프리카 등의 경제 소국에는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겠지만, 경제 규모가 큰 나라들에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CBS 인터뷰 : "(기본 관세)10%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20%와 19%를 내듯이 많은 나라가 더 많이 낼 겁니다. 대부분의 나라가 더 많이 내게 될 겁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경제를 개방하는 나라와는 더 좋은 협정을 맺을 것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25%의 상호관세율을 통보받은 상태입니다.
협상 시한이 열흘 남짓 남은 막바지 상황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현지 시각 20일 다시 미국을 찾았습니다.
이달 초와 마찬가지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상대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는 물론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금이나 한미 정상회담 등도 협상 의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취임 6개월을 맞아 미국 CBS 방송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업무 지지율은 42%로 나타났습니다.
2월 초 조사 때보다 10%포인트가량 낮아졌는데, 특히 관세 정책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60%가 반대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시점이 열흘 남짓 남은 가운데, 미 상무장관은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고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은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는 막바지 협상을 위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다시 미국에 보냈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현지시각 20일 미국 CBS 방송 인터뷰에서 관세 부과 연기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달 초부터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에 명시된 것처럼 8월 1일부터 새로운 관세가 적용된다는 겁니다.
러트닉 장관은 그러면서 라틴아메리카나 카리브해, 아프리카 등의 경제 소국에는 기본 관세 10%가 유지되겠지만, 경제 규모가 큰 나라들에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CBS 인터뷰 : "(기본 관세)10%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20%와 19%를 내듯이 많은 나라가 더 많이 낼 겁니다. 대부분의 나라가 더 많이 내게 될 겁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경제를 개방하는 나라와는 더 좋은 협정을 맺을 것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25%의 상호관세율을 통보받은 상태입니다.
협상 시한이 열흘 남짓 남은 막바지 상황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현지 시각 20일 다시 미국을 찾았습니다.
이달 초와 마찬가지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상대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는 물론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금이나 한미 정상회담 등도 협상 의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취임 6개월을 맞아 미국 CBS 방송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업무 지지율은 42%로 나타났습니다.
2월 초 조사 때보다 10%포인트가량 낮아졌는데, 특히 관세 정책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60%가 반대했습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