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주한미군 감축론 “전투병력 줄여 1만 명만 둬야”
입력 2025.07.10 (21:33)
수정 2025.07.10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내에서 또 주한미군 감축론이 제기됐습니다.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인사가 3만 명 가까운 주한미군을 만 명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먼저,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미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댄 콜드웰이 작성한 싱크탱크 '국방우선순위'의 보고서입니다.
중국 견제와 국익을 위해 미군의 태세를 재편해야 한다며 주한미군을 2만 8천 500명에서 만 명으로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외 주변 다른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를 근거 삼았습니다.
지금 상태면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할 때,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발이 묶이는 걸 우려한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한국의 방위 능력이 충분하다며 지상 방어의 책임을 스스로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새 국방 전략 수립을 이끌고 있는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차관의 인식과도 일치합니다.
[엘브리지 콜비/미 국방부 정책차관/지난해 :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미군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5월에는 주한미군 4천5백 명이 괌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미국 언론 보도도 나왔는데, 주한 미군이 어느 곳에든 유연하게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의는 트럼프 정부 들어 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미간에 무역과 안보 이슈가 패키지로 논의되는 상황 속에, 주한미군 문제는 트럼프 정부가 우리나라를 압박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르면 다음 달 공개될 미국의 새 국방 전략에 주한미군 감축 방안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백주희
미국 내에서 또 주한미군 감축론이 제기됐습니다.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인사가 3만 명 가까운 주한미군을 만 명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먼저,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미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댄 콜드웰이 작성한 싱크탱크 '국방우선순위'의 보고서입니다.
중국 견제와 국익을 위해 미군의 태세를 재편해야 한다며 주한미군을 2만 8천 500명에서 만 명으로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외 주변 다른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를 근거 삼았습니다.
지금 상태면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할 때,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발이 묶이는 걸 우려한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한국의 방위 능력이 충분하다며 지상 방어의 책임을 스스로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새 국방 전략 수립을 이끌고 있는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차관의 인식과도 일치합니다.
[엘브리지 콜비/미 국방부 정책차관/지난해 :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미군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5월에는 주한미군 4천5백 명이 괌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미국 언론 보도도 나왔는데, 주한 미군이 어느 곳에든 유연하게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의는 트럼프 정부 들어 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미간에 무역과 안보 이슈가 패키지로 논의되는 상황 속에, 주한미군 문제는 트럼프 정부가 우리나라를 압박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르면 다음 달 공개될 미국의 새 국방 전략에 주한미군 감축 방안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백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또 주한미군 감축론 “전투병력 줄여 1만 명만 둬야”
-
- 입력 2025-07-10 21:33:46
- 수정2025-07-10 22:03:54

[앵커]
미국 내에서 또 주한미군 감축론이 제기됐습니다.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인사가 3만 명 가까운 주한미군을 만 명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먼저,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미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댄 콜드웰이 작성한 싱크탱크 '국방우선순위'의 보고서입니다.
중국 견제와 국익을 위해 미군의 태세를 재편해야 한다며 주한미군을 2만 8천 500명에서 만 명으로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외 주변 다른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를 근거 삼았습니다.
지금 상태면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할 때,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발이 묶이는 걸 우려한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한국의 방위 능력이 충분하다며 지상 방어의 책임을 스스로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새 국방 전략 수립을 이끌고 있는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차관의 인식과도 일치합니다.
[엘브리지 콜비/미 국방부 정책차관/지난해 :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미군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5월에는 주한미군 4천5백 명이 괌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미국 언론 보도도 나왔는데, 주한 미군이 어느 곳에든 유연하게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의는 트럼프 정부 들어 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미간에 무역과 안보 이슈가 패키지로 논의되는 상황 속에, 주한미군 문제는 트럼프 정부가 우리나라를 압박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르면 다음 달 공개될 미국의 새 국방 전략에 주한미군 감축 방안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백주희
미국 내에서 또 주한미군 감축론이 제기됐습니다.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인사가 3만 명 가까운 주한미군을 만 명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먼저,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미 국방장관의 수석 고문을 지낸 댄 콜드웰이 작성한 싱크탱크 '국방우선순위'의 보고서입니다.
중국 견제와 국익을 위해 미군의 태세를 재편해야 한다며 주한미군을 2만 8천 500명에서 만 명으로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외 주변 다른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를 근거 삼았습니다.
지금 상태면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할 때,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발이 묶이는 걸 우려한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한국의 방위 능력이 충분하다며 지상 방어의 책임을 스스로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새 국방 전략 수립을 이끌고 있는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차관의 인식과도 일치합니다.
[엘브리지 콜비/미 국방부 정책차관/지난해 :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미군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5월에는 주한미군 4천5백 명이 괌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미국 언론 보도도 나왔는데, 주한 미군이 어느 곳에든 유연하게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의는 트럼프 정부 들어 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미간에 무역과 안보 이슈가 패키지로 논의되는 상황 속에, 주한미군 문제는 트럼프 정부가 우리나라를 압박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르면 다음 달 공개될 미국의 새 국방 전략에 주한미군 감축 방안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백주희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