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K] ‘하얀양옥집’ 개관 1년…일상 속 문화플랫폼으로 성장

입력 2025.05.15 (19:39) 수정 2025.05.15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열린K 시간입니다.

한때 권위주의 시대의 산물로 불리던 옛 도지사 관사를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시민과 관광객에게 개방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요?

이수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한옥 사이 사이 부쩍 눈에 띄는 2층 양옥집.

지난해 이맘때쯤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로 고쳐 일반에 개방한 옛 도지사 관사입니다.

활짝 열린 대문 사이로 거리낌 없이 방문객이 드나드는 것은 물론, 뜰에 핀 꽃 앞에서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기기도 합니다.

내부 공간에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상상과 바람이 담긴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황은하·박지원/관람객 : "5월이라 그런지 어린이 주제로 해놓으니까 한 번씩 읽어보게 되고, 누구나 올 수 있어서 좋아요. 일부러 찾아왔으면 좋겠어요, 한옥마을만 돌아보지 말고."]

세 해 전까지 도지사의 집무 공간과 살림집으로 활용되며 문이 굳게 닫혔던 하얀양옥집이 시민 품으로 돌아온 지 1년.

지난해 5월 문을 연 하얀양옥집은 지역 예술인들과 함께 지난 1년 동안 다양한 전시와 체험, 학술대회 등을 선보였습니다.

11일 기준, 하얀양옥집을 찾은 관람객이 7만 명에 달하면서 공공 복합문화공간으로 가능성도 증명했습니다.

예술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게 주효했습니다.

[이남형/전시 관계자 : "시민들이 지나다니다 마당에서 쉴 수도 있고 2층에서 책도 읽을 수 있고 정말 부담 없이 전주 시골집에, 친척 집에 놀러 온 것처럼 편하게..."]

도지사 전유물로 여겨졌던 관사가 한 해 만에 일상 속 문화 향기를 품은 플랫폼으로 다시 태어나면서 전북의 새로운 관광·체험명소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앵커]

열린 K 시간입니다.

권위주의의 상징이었던 옛 도지사 관사를 '하얀 양옥집'이라고 이름을 붙여 복합 문화공간으로 일반에 개방한 지 1년이 됐습니다.

새로운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 간의 성과와 앞으로 활성화 과제에 대해 자세히 짚어봅니다.

전북문화관광재단 최영규 사무처장,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옛 도지사관사가 53년 만에 담을 허물고 문턱을 낮춰 도민에게 개방된 지 1년이 됐습니다.

그동안 반응 어땠습니까?

[앵커]

제주나 충남, 부산 등에서도 자치단체장 관사를 도서관이나 어린이집, 문화공간으로 바꿔 시민에게 돌려줬는데요,

개방 1년 동안 하얀 양옥집, 다른 지역과 차별화가 됐습니까?

[앵커]

하얀 양옥집이 그냥 일반 전시 체험 공간에 불과하다, 새로운 콘텐츠가 없다 등의 지적이 있습니다.

한정된 자원으로 전시와 프로그램이 운영되다 보니 그럴 텐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앵커]

하얀 양옥집이 앞으로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한옥마을의 새 명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열린K] ‘하얀양옥집’ 개관 1년…일상 속 문화플랫폼으로 성장
    • 입력 2025-05-15 19:39:37
    • 수정2025-05-15 20:18:24
    뉴스7(전주)
[앵커]

열린K 시간입니다.

한때 권위주의 시대의 산물로 불리던 옛 도지사 관사를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시민과 관광객에게 개방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요?

이수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한옥 사이 사이 부쩍 눈에 띄는 2층 양옥집.

지난해 이맘때쯤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로 고쳐 일반에 개방한 옛 도지사 관사입니다.

활짝 열린 대문 사이로 거리낌 없이 방문객이 드나드는 것은 물론, 뜰에 핀 꽃 앞에서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기기도 합니다.

내부 공간에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상상과 바람이 담긴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황은하·박지원/관람객 : "5월이라 그런지 어린이 주제로 해놓으니까 한 번씩 읽어보게 되고, 누구나 올 수 있어서 좋아요. 일부러 찾아왔으면 좋겠어요, 한옥마을만 돌아보지 말고."]

세 해 전까지 도지사의 집무 공간과 살림집으로 활용되며 문이 굳게 닫혔던 하얀양옥집이 시민 품으로 돌아온 지 1년.

지난해 5월 문을 연 하얀양옥집은 지역 예술인들과 함께 지난 1년 동안 다양한 전시와 체험, 학술대회 등을 선보였습니다.

11일 기준, 하얀양옥집을 찾은 관람객이 7만 명에 달하면서 공공 복합문화공간으로 가능성도 증명했습니다.

예술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게 주효했습니다.

[이남형/전시 관계자 : "시민들이 지나다니다 마당에서 쉴 수도 있고 2층에서 책도 읽을 수 있고 정말 부담 없이 전주 시골집에, 친척 집에 놀러 온 것처럼 편하게..."]

도지사 전유물로 여겨졌던 관사가 한 해 만에 일상 속 문화 향기를 품은 플랫폼으로 다시 태어나면서 전북의 새로운 관광·체험명소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앵커]

열린 K 시간입니다.

권위주의의 상징이었던 옛 도지사 관사를 '하얀 양옥집'이라고 이름을 붙여 복합 문화공간으로 일반에 개방한 지 1년이 됐습니다.

새로운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 간의 성과와 앞으로 활성화 과제에 대해 자세히 짚어봅니다.

전북문화관광재단 최영규 사무처장,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옛 도지사관사가 53년 만에 담을 허물고 문턱을 낮춰 도민에게 개방된 지 1년이 됐습니다.

그동안 반응 어땠습니까?

[앵커]

제주나 충남, 부산 등에서도 자치단체장 관사를 도서관이나 어린이집, 문화공간으로 바꿔 시민에게 돌려줬는데요,

개방 1년 동안 하얀 양옥집, 다른 지역과 차별화가 됐습니까?

[앵커]

하얀 양옥집이 그냥 일반 전시 체험 공간에 불과하다, 새로운 콘텐츠가 없다 등의 지적이 있습니다.

한정된 자원으로 전시와 프로그램이 운영되다 보니 그럴 텐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앵커]

하얀 양옥집이 앞으로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한옥마을의 새 명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