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타결 광물 협정, 엇갈린 반응…러·우 여전한 드론 공방

입력 2025.05.02 (06:38) 수정 2025.05.02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석달에 걸친 줄다리기 끝에 광물 협정에 전격 서명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에 기우는 듯했던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밀착하는 쪽으로 급격히 입장을 바꾸고 있는데요.

다음 달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사흘 휴전을 선언한 가운데 양측은 여전히 드론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송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통 끝에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체결한 이른바 광물 협정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크게 환영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때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바티칸 회담의 첫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진정으로 공평한 협정입니다. 우크라이나에 상당한 투자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희토류 같은 광물 자원에 대해 양국이 공동 투자한다는 광물 협정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앞으로 미국의 군사 지원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투자 기금으로 간주됩니다.

또 3년 넘게 미국이 군사 지원한 부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금전적 보상은 명시되지 않았는데 우크라이나에게 유리한 요소가 꽤 포함된 겁니다.

특히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이 공식 사용된 점도 주목할 만한 대목입니다.

영토 등을 놓고 러시아와 밀착하는 듯했던 미국이 우크라이나 쪽으로 다가서려는 노선 전환이 감지됐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크렘린궁 차원의 공식 반응은 없었지만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깁니다.

푸틴과 가까운 정치인들이 "미국의 지원 대가를 자원으로 갚도록 했다" 거나 "우크라이나가 식민지화하는 중대한 조치" 라는 등의 거친 메시지를 쏟아냈습니다.

다음 주 사흘간 휴전을 일방 선언한 후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남부 도시 오데사에 대규모 드론 공습을 단행했습니다.

광물 협상 타결 직훕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자신들이 통제 중인 헤르손의 시장 등을 공습해 민간인 등 최소 7명이 숨졌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이승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여곡절 타결 광물 협정, 엇갈린 반응…러·우 여전한 드론 공방
    • 입력 2025-05-02 06:38:25
    • 수정2025-05-02 07:58:01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석달에 걸친 줄다리기 끝에 광물 협정에 전격 서명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에 기우는 듯했던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밀착하는 쪽으로 급격히 입장을 바꾸고 있는데요.

다음 달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사흘 휴전을 선언한 가운데 양측은 여전히 드론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송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통 끝에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체결한 이른바 광물 협정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크게 환영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때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바티칸 회담의 첫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진정으로 공평한 협정입니다. 우크라이나에 상당한 투자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희토류 같은 광물 자원에 대해 양국이 공동 투자한다는 광물 협정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앞으로 미국의 군사 지원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투자 기금으로 간주됩니다.

또 3년 넘게 미국이 군사 지원한 부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금전적 보상은 명시되지 않았는데 우크라이나에게 유리한 요소가 꽤 포함된 겁니다.

특히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이 공식 사용된 점도 주목할 만한 대목입니다.

영토 등을 놓고 러시아와 밀착하는 듯했던 미국이 우크라이나 쪽으로 다가서려는 노선 전환이 감지됐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크렘린궁 차원의 공식 반응은 없었지만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깁니다.

푸틴과 가까운 정치인들이 "미국의 지원 대가를 자원으로 갚도록 했다" 거나 "우크라이나가 식민지화하는 중대한 조치" 라는 등의 거친 메시지를 쏟아냈습니다.

다음 주 사흘간 휴전을 일방 선언한 후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남부 도시 오데사에 대규모 드론 공습을 단행했습니다.

광물 협상 타결 직훕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자신들이 통제 중인 헤르손의 시장 등을 공습해 민간인 등 최소 7명이 숨졌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이승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