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기가 가상 적기”…한미 공군기 90여 대 대규모 훈련

입력 2025.04.19 (07:05) 수정 2025.04.19 (08: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미 공군이 주력기 90여 대가 참여하는 대규모 공중 훈련을 시작했습니다.

미 해병대의 스텔스 전투기가 가상 적기로 나서, 북한뿐 아니라 미래의 다양한 잠재적 위협에 대비한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굉음을 내며 출격하는 전투기들.

해발 약 2.4km 상공에서 접근해 오는 적군 스텔스기에 맞서 대형을 갖춥니다.

한미 공군의 대규모 연합공중 훈련 '프리덤 플래그'입니다.

지금 제 뒤로 보이는 F-35B와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F-15, 미 공군의 무인기 등 총 90여 대의 한미 공중 전력이 이번 훈련에 참가했습니다.

미 해병대의 F-35B는 이번 훈련에 처음 등장했는데, 주일미군 기지에서 날아와 가상 적기, 일명 '레드팀'을 맡았습니다.

북한의 구형 전투기를 넘어, 최첨단 전투기의 새로운 전술을 익혀 미래의 잠재적 위협까지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종원/제20전투비행단 KF-16 조종사 : "현대의 전장 환경에 발맞춘 새로운 전략과 전술을 한미 조종사가 공유함으로써 양측 간 팀워크를 다지고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미 공군 무인기가 정찰을 맡아 유인기와 함께 작전을 펴기도 했습니다.

[조나단 디츠/제7공군 작전처 훈련연습과장 : "무인 항공기는 우리가 보유한 자산으로 볼 때 차세대 전력입니다. 정보 감시 정찰을 제공하며, 저희는 이를 시나리오에 잘 녹여내고 있습니다."]

한미 양군은 저고도 비행과 공중침투 등 다양한 훈련을 앞으로 2주 동안 진행합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 안재훈/화면제공:공군/영상편집:김형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텔스기가 가상 적기”…한미 공군기 90여 대 대규모 훈련
    • 입력 2025-04-19 07:05:18
    • 수정2025-04-19 08:17:22
    뉴스광장 1부
[앵커]

한미 공군이 주력기 90여 대가 참여하는 대규모 공중 훈련을 시작했습니다.

미 해병대의 스텔스 전투기가 가상 적기로 나서, 북한뿐 아니라 미래의 다양한 잠재적 위협에 대비한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굉음을 내며 출격하는 전투기들.

해발 약 2.4km 상공에서 접근해 오는 적군 스텔스기에 맞서 대형을 갖춥니다.

한미 공군의 대규모 연합공중 훈련 '프리덤 플래그'입니다.

지금 제 뒤로 보이는 F-35B와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F-15, 미 공군의 무인기 등 총 90여 대의 한미 공중 전력이 이번 훈련에 참가했습니다.

미 해병대의 F-35B는 이번 훈련에 처음 등장했는데, 주일미군 기지에서 날아와 가상 적기, 일명 '레드팀'을 맡았습니다.

북한의 구형 전투기를 넘어, 최첨단 전투기의 새로운 전술을 익혀 미래의 잠재적 위협까지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종원/제20전투비행단 KF-16 조종사 : "현대의 전장 환경에 발맞춘 새로운 전략과 전술을 한미 조종사가 공유함으로써 양측 간 팀워크를 다지고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미 공군 무인기가 정찰을 맡아 유인기와 함께 작전을 펴기도 했습니다.

[조나단 디츠/제7공군 작전처 훈련연습과장 : "무인 항공기는 우리가 보유한 자산으로 볼 때 차세대 전력입니다. 정보 감시 정찰을 제공하며, 저희는 이를 시나리오에 잘 녹여내고 있습니다."]

한미 양군은 저고도 비행과 공중침투 등 다양한 훈련을 앞으로 2주 동안 진행합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 안재훈/화면제공:공군/영상편집:김형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