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용현, 군 잇단 반대에도 원점 타격 지시…K9 동원하라”
입력 2025.08.04 (21:18)
수정 2025.08.04 (22: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북한 오물풍선에 원점타격으로 맞대응할 것을 집요하고 강력하게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땅에 K9 자주포를 쏘라면서, 합참의장을 건너뛰겠단 말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군이 반대하자 화를 내고 질책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18일 새벽.
북한이 서른 번 넘게 오물 풍선을 날리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원점타격'을 포함한 대응 방안 마련을 군에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당일 합참도 곧바로 경고 성명을 냈고.
[남기수/합참 공보부실장/지난해 11월 18일 : "북한의 행위는 선을 넘고 있으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군은 다음 날 대응 방안을 보고했는데 군 관계자에 따르면 원점 타격이 아닌 비무장지대 내 경고 사격이었던 거로 알려졌습니다.
'원점 타격'은 국지전 발생 위험이 있다며 사실상 반대의견을 낸 겁니다.
그러자 김 전 장관은 다시 오물 풍선이 날아올 경우 작전본부장이 '원점 타격'을 건의만 해주면 합참의장을 거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지시하겠다며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또 전방의 K9 자주포 화력 동원 계획까지 내놨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실행됐다면 NLL과 군사분계선 북쪽, 북한의 영역 안으로 우리가 포탄을 쏘는 겁니다.
3일 뒤, 합참의장까지 나서 합당한 수준의 대응이 아니라며 면전에서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이 매우 화를 냈다고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6일 뒤, 북한이 오물 풍선을 또 보냈고, 김 전 장관은 군이 아무것도 안 한다며 작전과 정보 라인을 크게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잇단 지시에도 군이 계속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의 원점 타격 지시는 실행되지 못했고, 5일 뒤 비상계엄이 선포됐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묻는 KBS에 김 전 장관 측은 "입장을 밝히거나 사실 관계를 확인해드릴 게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고석훈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북한 오물풍선에 원점타격으로 맞대응할 것을 집요하고 강력하게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땅에 K9 자주포를 쏘라면서, 합참의장을 건너뛰겠단 말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군이 반대하자 화를 내고 질책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18일 새벽.
북한이 서른 번 넘게 오물 풍선을 날리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원점타격'을 포함한 대응 방안 마련을 군에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당일 합참도 곧바로 경고 성명을 냈고.
[남기수/합참 공보부실장/지난해 11월 18일 : "북한의 행위는 선을 넘고 있으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군은 다음 날 대응 방안을 보고했는데 군 관계자에 따르면 원점 타격이 아닌 비무장지대 내 경고 사격이었던 거로 알려졌습니다.
'원점 타격'은 국지전 발생 위험이 있다며 사실상 반대의견을 낸 겁니다.
그러자 김 전 장관은 다시 오물 풍선이 날아올 경우 작전본부장이 '원점 타격'을 건의만 해주면 합참의장을 거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지시하겠다며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또 전방의 K9 자주포 화력 동원 계획까지 내놨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실행됐다면 NLL과 군사분계선 북쪽, 북한의 영역 안으로 우리가 포탄을 쏘는 겁니다.
3일 뒤, 합참의장까지 나서 합당한 수준의 대응이 아니라며 면전에서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이 매우 화를 냈다고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6일 뒤, 북한이 오물 풍선을 또 보냈고, 김 전 장관은 군이 아무것도 안 한다며 작전과 정보 라인을 크게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잇단 지시에도 군이 계속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의 원점 타격 지시는 실행되지 못했고, 5일 뒤 비상계엄이 선포됐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묻는 KBS에 김 전 장관 측은 "입장을 밝히거나 사실 관계를 확인해드릴 게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김용현, 군 잇단 반대에도 원점 타격 지시…K9 동원하라”
-
- 입력 2025-08-04 21:18:20
- 수정2025-08-04 22:51:29

[앵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북한 오물풍선에 원점타격으로 맞대응할 것을 집요하고 강력하게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땅에 K9 자주포를 쏘라면서, 합참의장을 건너뛰겠단 말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군이 반대하자 화를 내고 질책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18일 새벽.
북한이 서른 번 넘게 오물 풍선을 날리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원점타격'을 포함한 대응 방안 마련을 군에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당일 합참도 곧바로 경고 성명을 냈고.
[남기수/합참 공보부실장/지난해 11월 18일 : "북한의 행위는 선을 넘고 있으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군은 다음 날 대응 방안을 보고했는데 군 관계자에 따르면 원점 타격이 아닌 비무장지대 내 경고 사격이었던 거로 알려졌습니다.
'원점 타격'은 국지전 발생 위험이 있다며 사실상 반대의견을 낸 겁니다.
그러자 김 전 장관은 다시 오물 풍선이 날아올 경우 작전본부장이 '원점 타격'을 건의만 해주면 합참의장을 거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지시하겠다며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또 전방의 K9 자주포 화력 동원 계획까지 내놨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실행됐다면 NLL과 군사분계선 북쪽, 북한의 영역 안으로 우리가 포탄을 쏘는 겁니다.
3일 뒤, 합참의장까지 나서 합당한 수준의 대응이 아니라며 면전에서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이 매우 화를 냈다고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6일 뒤, 북한이 오물 풍선을 또 보냈고, 김 전 장관은 군이 아무것도 안 한다며 작전과 정보 라인을 크게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잇단 지시에도 군이 계속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의 원점 타격 지시는 실행되지 못했고, 5일 뒤 비상계엄이 선포됐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묻는 KBS에 김 전 장관 측은 "입장을 밝히거나 사실 관계를 확인해드릴 게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고석훈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북한 오물풍선에 원점타격으로 맞대응할 것을 집요하고 강력하게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땅에 K9 자주포를 쏘라면서, 합참의장을 건너뛰겠단 말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군이 반대하자 화를 내고 질책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18일 새벽.
북한이 서른 번 넘게 오물 풍선을 날리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원점타격'을 포함한 대응 방안 마련을 군에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당일 합참도 곧바로 경고 성명을 냈고.
[남기수/합참 공보부실장/지난해 11월 18일 : "북한의 행위는 선을 넘고 있으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군은 다음 날 대응 방안을 보고했는데 군 관계자에 따르면 원점 타격이 아닌 비무장지대 내 경고 사격이었던 거로 알려졌습니다.
'원점 타격'은 국지전 발생 위험이 있다며 사실상 반대의견을 낸 겁니다.
그러자 김 전 장관은 다시 오물 풍선이 날아올 경우 작전본부장이 '원점 타격'을 건의만 해주면 합참의장을 거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지시하겠다며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또 전방의 K9 자주포 화력 동원 계획까지 내놨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실행됐다면 NLL과 군사분계선 북쪽, 북한의 영역 안으로 우리가 포탄을 쏘는 겁니다.
3일 뒤, 합참의장까지 나서 합당한 수준의 대응이 아니라며 면전에서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이 매우 화를 냈다고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6일 뒤, 북한이 오물 풍선을 또 보냈고, 김 전 장관은 군이 아무것도 안 한다며 작전과 정보 라인을 크게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잇단 지시에도 군이 계속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의 원점 타격 지시는 실행되지 못했고, 5일 뒤 비상계엄이 선포됐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묻는 KBS에 김 전 장관 측은 "입장을 밝히거나 사실 관계를 확인해드릴 게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고석훈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3대 특검’ 수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