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의대생 2천 명 현역병 입대…군의관·공보의 존폐 기로
입력 2025.04.15 (21:33)
수정 2025.04.15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들어 2천 명 넘는 의대생들이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의정 갈등 속에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고 있는 건데, 이렇게 가다간 군의관과 공보의 제도가 존폐 기로에 놓일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주현지 가잡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대 강의실.
복학 대상자 전원이 등록을 마쳤지만, 일부 학생들의 수업 거부로 여전히 빈 자리가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을 선택한 남학생들도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이 사건(의정 갈등) 딱 터지니까 일석이조 느낌으로 '갔다 오면 해결되겠지'라는 생각도 이제 생겨서…."]
이렇게 군 휴학을 택하는 의대생 수는 한 학기 평균 200명대였다가 의정 갈등이 불거진 지난해 1학기 6백여 명, 올해 1학기엔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의정 갈등 전과 비교하면 10배 급증한 겁니다.
육군 현역병 복무 기간은 18개월, 군의관이나 공보의는 두 배 긴 36개월을 복무해야 합니다.
병장 월급은 현 정부 들어 200만 원을 넘었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월급도 좀 더 높고 생활 자체도 더 편한 편이고 해서 (군의관·공보의를) 갔던 건데, 이제는 일반 병사도 월급도 오르고 해가지고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적어진…."]
전국의 40개 의대는 의대생 집단 휴학을 막기 위해 군 입대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휴학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몇 년 안에 군의관과 공보의 부족 사태가 현실화할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음성변조 :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때문에 원하지 않는 시기에 군의관이나 공보의에 강제로 끌려갈 수 있다는 불안도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군의관 처우를 개선해 의무복무가 아닌 장기 직업 군의관 중심으로 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올해 들어 2천 명 넘는 의대생들이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의정 갈등 속에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고 있는 건데, 이렇게 가다간 군의관과 공보의 제도가 존폐 기로에 놓일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주현지 가잡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대 강의실.
복학 대상자 전원이 등록을 마쳤지만, 일부 학생들의 수업 거부로 여전히 빈 자리가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을 선택한 남학생들도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이 사건(의정 갈등) 딱 터지니까 일석이조 느낌으로 '갔다 오면 해결되겠지'라는 생각도 이제 생겨서…."]
이렇게 군 휴학을 택하는 의대생 수는 한 학기 평균 200명대였다가 의정 갈등이 불거진 지난해 1학기 6백여 명, 올해 1학기엔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의정 갈등 전과 비교하면 10배 급증한 겁니다.
육군 현역병 복무 기간은 18개월, 군의관이나 공보의는 두 배 긴 36개월을 복무해야 합니다.
병장 월급은 현 정부 들어 200만 원을 넘었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월급도 좀 더 높고 생활 자체도 더 편한 편이고 해서 (군의관·공보의를) 갔던 건데, 이제는 일반 병사도 월급도 오르고 해가지고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적어진…."]
전국의 40개 의대는 의대생 집단 휴학을 막기 위해 군 입대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휴학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몇 년 안에 군의관과 공보의 부족 사태가 현실화할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음성변조 :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때문에 원하지 않는 시기에 군의관이나 공보의에 강제로 끌려갈 수 있다는 불안도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군의관 처우를 개선해 의무복무가 아닌 장기 직업 군의관 중심으로 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해 의대생 2천 명 현역병 입대…군의관·공보의 존폐 기로
-
- 입력 2025-04-15 21:33:58
- 수정2025-04-15 22:02:07

[앵커]
올해 들어 2천 명 넘는 의대생들이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의정 갈등 속에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고 있는 건데, 이렇게 가다간 군의관과 공보의 제도가 존폐 기로에 놓일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주현지 가잡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대 강의실.
복학 대상자 전원이 등록을 마쳤지만, 일부 학생들의 수업 거부로 여전히 빈 자리가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을 선택한 남학생들도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이 사건(의정 갈등) 딱 터지니까 일석이조 느낌으로 '갔다 오면 해결되겠지'라는 생각도 이제 생겨서…."]
이렇게 군 휴학을 택하는 의대생 수는 한 학기 평균 200명대였다가 의정 갈등이 불거진 지난해 1학기 6백여 명, 올해 1학기엔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의정 갈등 전과 비교하면 10배 급증한 겁니다.
육군 현역병 복무 기간은 18개월, 군의관이나 공보의는 두 배 긴 36개월을 복무해야 합니다.
병장 월급은 현 정부 들어 200만 원을 넘었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월급도 좀 더 높고 생활 자체도 더 편한 편이고 해서 (군의관·공보의를) 갔던 건데, 이제는 일반 병사도 월급도 오르고 해가지고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적어진…."]
전국의 40개 의대는 의대생 집단 휴학을 막기 위해 군 입대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휴학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몇 년 안에 군의관과 공보의 부족 사태가 현실화할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음성변조 :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때문에 원하지 않는 시기에 군의관이나 공보의에 강제로 끌려갈 수 있다는 불안도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군의관 처우를 개선해 의무복무가 아닌 장기 직업 군의관 중심으로 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올해 들어 2천 명 넘는 의대생들이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의정 갈등 속에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고 있는 건데, 이렇게 가다간 군의관과 공보의 제도가 존폐 기로에 놓일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주현지 가잡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의대 강의실.
복학 대상자 전원이 등록을 마쳤지만, 일부 학생들의 수업 거부로 여전히 빈 자리가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를 위해 휴학을 선택한 남학생들도 많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이 사건(의정 갈등) 딱 터지니까 일석이조 느낌으로 '갔다 오면 해결되겠지'라는 생각도 이제 생겨서…."]
이렇게 군 휴학을 택하는 의대생 수는 한 학기 평균 200명대였다가 의정 갈등이 불거진 지난해 1학기 6백여 명, 올해 1학기엔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의정 갈등 전과 비교하면 10배 급증한 겁니다.
육군 현역병 복무 기간은 18개월, 군의관이나 공보의는 두 배 긴 36개월을 복무해야 합니다.
병장 월급은 현 정부 들어 200만 원을 넘었습니다.
[현역병 입대 예정 의대생/음성변조 : "월급도 좀 더 높고 생활 자체도 더 편한 편이고 해서 (군의관·공보의를) 갔던 건데, 이제는 일반 병사도 월급도 오르고 해가지고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적어진…."]
전국의 40개 의대는 의대생 집단 휴학을 막기 위해 군 입대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휴학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몇 년 안에 군의관과 공보의 부족 사태가 현실화할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음성변조 :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때문에 원하지 않는 시기에 군의관이나 공보의에 강제로 끌려갈 수 있다는 불안도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군의관 처우를 개선해 의무복무가 아닌 장기 직업 군의관 중심으로 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