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34만8천 명 증가…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 ↑
입력 2019.10.16 (08:50)
수정 2019.10.16 (10: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1년 전보다 34만 명 넘게 늘어 두 달 연속 30면명 대 이상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6일) 발표한 9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40만4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 명 늘었습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던 8월 45만 명 증가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인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습니다. 9월 기준으로 1996년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OECD 비교 기준인 15세~64세까지의 생산연령인구 고용률도 0.3%포인트 오른 67.1%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88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인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9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 명 늘었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8만 3천 명, 숙박 및 음식점에서 7만 9천 명 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가 11만천 명 줄었고, 도매 및 소매업에서 6만 4천 명, 공공행정과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 6만 2천 명이 줄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2월 15만천 명 감소한 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축소되다 지난달 다시 확대됐습니다.
연령별로 취업자 수를 보면 30대와 40대만 줄었는데 특히 40대 취업자 수가 17만 9천 명 감소해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 고용률만 보면 40대만 인구 감소 폭보다 취업자 수가 더 많이 줄어 0.9%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6일) 발표한 9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40만4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 명 늘었습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던 8월 45만 명 증가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인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습니다. 9월 기준으로 1996년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OECD 비교 기준인 15세~64세까지의 생산연령인구 고용률도 0.3%포인트 오른 67.1%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88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인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9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 명 늘었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8만 3천 명, 숙박 및 음식점에서 7만 9천 명 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가 11만천 명 줄었고, 도매 및 소매업에서 6만 4천 명, 공공행정과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 6만 2천 명이 줄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2월 15만천 명 감소한 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축소되다 지난달 다시 확대됐습니다.
연령별로 취업자 수를 보면 30대와 40대만 줄었는데 특히 40대 취업자 수가 17만 9천 명 감소해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 고용률만 보면 40대만 인구 감소 폭보다 취업자 수가 더 많이 줄어 0.9%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달 취업자 수 34만8천 명 증가…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 ↑
-
- 입력 2019-10-16 08:50:21
- 수정2019-10-16 10:42:46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1년 전보다 34만 명 넘게 늘어 두 달 연속 30면명 대 이상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6일) 발표한 9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40만4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 명 늘었습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던 8월 45만 명 증가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인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습니다. 9월 기준으로 1996년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OECD 비교 기준인 15세~64세까지의 생산연령인구 고용률도 0.3%포인트 오른 67.1%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88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인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9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 명 늘었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8만 3천 명, 숙박 및 음식점에서 7만 9천 명 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가 11만천 명 줄었고, 도매 및 소매업에서 6만 4천 명, 공공행정과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 6만 2천 명이 줄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2월 15만천 명 감소한 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축소되다 지난달 다시 확대됐습니다.
연령별로 취업자 수를 보면 30대와 40대만 줄었는데 특히 40대 취업자 수가 17만 9천 명 감소해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 고용률만 보면 40대만 인구 감소 폭보다 취업자 수가 더 많이 줄어 0.9%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6일) 발표한 9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40만4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 명 늘었습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던 8월 45만 명 증가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인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습니다. 9월 기준으로 1996년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OECD 비교 기준인 15세~64세까지의 생산연령인구 고용률도 0.3%포인트 오른 67.1%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88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인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9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 명 늘었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8만 3천 명, 숙박 및 음식점에서 7만 9천 명 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가 11만천 명 줄었고, 도매 및 소매업에서 6만 4천 명, 공공행정과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 6만 2천 명이 줄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2월 15만천 명 감소한 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축소되다 지난달 다시 확대됐습니다.
연령별로 취업자 수를 보면 30대와 40대만 줄었는데 특히 40대 취업자 수가 17만 9천 명 감소해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 고용률만 보면 40대만 인구 감소 폭보다 취업자 수가 더 많이 줄어 0.9%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
김수연 기자 kbsksy@kbs.co.kr
김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