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2.0%→1.8% 하향
입력 2019.10.01 (14:49)
수정 2019.10.01 (14: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기준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1.8%로 내렸습니다.
S&P는 오늘(1일) 발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분기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이처럼 수정 전망했습니다.
S&P는 또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6%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S&P는 한국 경제에 대해 "미·중 무역 분쟁뿐 아니라 일본과의 갈등 심화, 중국의 성장 둔화가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며 "경기 전망에 대한 가계와 기업의 확신이 크게 줄면서 지출 감소로 이어졌고 동시에 수출 성장도 둔화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설비 투자가 올해 상반기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해 특히 취약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S&P는 지난 7월 초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0%로 내렸습니다.
한편 S&P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1.50%에서 추가로 내려 올해 말 기준금리가 1.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한국의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각각 0.7%와 1.2%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1%에서 4.9%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5.1%에서 4.8%로 각각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S&P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및 기술 갈등이 불확실성의 그늘을 드리워 많은 국가의 급격한 투자 둔화로 이어졌다"며 "여기에 최근 한국과 일본의 무역 갈등도 역풍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S&P는 오늘(1일) 발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분기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이처럼 수정 전망했습니다.
S&P는 또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6%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S&P는 한국 경제에 대해 "미·중 무역 분쟁뿐 아니라 일본과의 갈등 심화, 중국의 성장 둔화가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며 "경기 전망에 대한 가계와 기업의 확신이 크게 줄면서 지출 감소로 이어졌고 동시에 수출 성장도 둔화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설비 투자가 올해 상반기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해 특히 취약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S&P는 지난 7월 초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0%로 내렸습니다.
한편 S&P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1.50%에서 추가로 내려 올해 말 기준금리가 1.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한국의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각각 0.7%와 1.2%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1%에서 4.9%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5.1%에서 4.8%로 각각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S&P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및 기술 갈등이 불확실성의 그늘을 드리워 많은 국가의 급격한 투자 둔화로 이어졌다"며 "여기에 최근 한국과 일본의 무역 갈등도 역풍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P,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2.0%→1.8% 하향
-
- 입력 2019-10-01 14:49:12
- 수정2019-10-01 14:54:45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기준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1.8%로 내렸습니다.
S&P는 오늘(1일) 발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분기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이처럼 수정 전망했습니다.
S&P는 또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6%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S&P는 한국 경제에 대해 "미·중 무역 분쟁뿐 아니라 일본과의 갈등 심화, 중국의 성장 둔화가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며 "경기 전망에 대한 가계와 기업의 확신이 크게 줄면서 지출 감소로 이어졌고 동시에 수출 성장도 둔화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설비 투자가 올해 상반기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해 특히 취약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S&P는 지난 7월 초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0%로 내렸습니다.
한편 S&P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1.50%에서 추가로 내려 올해 말 기준금리가 1.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한국의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각각 0.7%와 1.2%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1%에서 4.9%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5.1%에서 4.8%로 각각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S&P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및 기술 갈등이 불확실성의 그늘을 드리워 많은 국가의 급격한 투자 둔화로 이어졌다"며 "여기에 최근 한국과 일본의 무역 갈등도 역풍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S&P는 오늘(1일) 발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분기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이처럼 수정 전망했습니다.
S&P는 또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6%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S&P는 한국 경제에 대해 "미·중 무역 분쟁뿐 아니라 일본과의 갈등 심화, 중국의 성장 둔화가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며 "경기 전망에 대한 가계와 기업의 확신이 크게 줄면서 지출 감소로 이어졌고 동시에 수출 성장도 둔화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설비 투자가 올해 상반기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해 특히 취약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S&P는 지난 7월 초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0%로 내렸습니다.
한편 S&P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1.50%에서 추가로 내려 올해 말 기준금리가 1.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한국의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각각 0.7%와 1.2%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1%에서 4.9%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5.1%에서 4.8%로 각각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S&P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및 기술 갈등이 불확실성의 그늘을 드리워 많은 국가의 급격한 투자 둔화로 이어졌다"며 "여기에 최근 한국과 일본의 무역 갈등도 역풍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노태영 기자 lotte0@kbs.co.kr
노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