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비 증액, 한반도 안보 주도적 역할”…‘동맹 현대화’ 어떻게
입력 2025.08.26 (19:12)
수정 2025.08.26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맹국들에 국방비 인상을 강하게 압박해 왔는데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부가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또 한미 양국은 '동맹 현대화'에도 큰 방향에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일지 양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부터 무기 구매를 요구하며 '안보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그 장비(군사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나라이고, 우리도 그 점을 논의할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줄곧 'GDP 5%' 수준의 국방비 인상 압박을 받아온 상황.
이재명 대통령은 이어진 연설에서 국방비 증액을 공식화했습니다.
["국방비를 증액할 것입니다.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국방비 문제는 우리 측이 먼저 거론했는데, '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사안을 전략적으로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 국방비는 61조 원으로, 2029년에는 84조 원까지 증액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군 관련 기반 시설이나 연구개발비용 등을 간접 국방비로 포함해 대응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정부는 또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에도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동맹 현대화의) 주안점은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현대화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더 많은 역할을 하도록 현대화한다…."]
한반도 안보에 우리가 보다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다만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이 유지될 거라고 단언하며 미군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에 선을 그었습니다.
한편, 주요 이슈로 꼽혔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김지혜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맹국들에 국방비 인상을 강하게 압박해 왔는데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부가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또 한미 양국은 '동맹 현대화'에도 큰 방향에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일지 양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부터 무기 구매를 요구하며 '안보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그 장비(군사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나라이고, 우리도 그 점을 논의할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줄곧 'GDP 5%' 수준의 국방비 인상 압박을 받아온 상황.
이재명 대통령은 이어진 연설에서 국방비 증액을 공식화했습니다.
["국방비를 증액할 것입니다.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국방비 문제는 우리 측이 먼저 거론했는데, '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사안을 전략적으로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 국방비는 61조 원으로, 2029년에는 84조 원까지 증액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군 관련 기반 시설이나 연구개발비용 등을 간접 국방비로 포함해 대응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정부는 또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에도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동맹 현대화의) 주안점은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현대화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더 많은 역할을 하도록 현대화한다…."]
한반도 안보에 우리가 보다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다만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이 유지될 거라고 단언하며 미군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에 선을 그었습니다.
한편, 주요 이슈로 꼽혔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방비 증액, 한반도 안보 주도적 역할”…‘동맹 현대화’ 어떻게
-
- 입력 2025-08-26 19:12:38
- 수정2025-08-26 19:48:49

[앵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맹국들에 국방비 인상을 강하게 압박해 왔는데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부가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또 한미 양국은 '동맹 현대화'에도 큰 방향에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일지 양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부터 무기 구매를 요구하며 '안보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그 장비(군사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나라이고, 우리도 그 점을 논의할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줄곧 'GDP 5%' 수준의 국방비 인상 압박을 받아온 상황.
이재명 대통령은 이어진 연설에서 국방비 증액을 공식화했습니다.
["국방비를 증액할 것입니다.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국방비 문제는 우리 측이 먼저 거론했는데, '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사안을 전략적으로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 국방비는 61조 원으로, 2029년에는 84조 원까지 증액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군 관련 기반 시설이나 연구개발비용 등을 간접 국방비로 포함해 대응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정부는 또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에도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동맹 현대화의) 주안점은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현대화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더 많은 역할을 하도록 현대화한다…."]
한반도 안보에 우리가 보다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다만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이 유지될 거라고 단언하며 미군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에 선을 그었습니다.
한편, 주요 이슈로 꼽혔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김지혜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맹국들에 국방비 인상을 강하게 압박해 왔는데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부가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또 한미 양국은 '동맹 현대화'에도 큰 방향에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일지 양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부터 무기 구매를 요구하며 '안보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그 장비(군사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나라이고, 우리도 그 점을 논의할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줄곧 'GDP 5%' 수준의 국방비 인상 압박을 받아온 상황.
이재명 대통령은 이어진 연설에서 국방비 증액을 공식화했습니다.
["국방비를 증액할 것입니다.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국방비 문제는 우리 측이 먼저 거론했는데, '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사안을 전략적으로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 국방비는 61조 원으로, 2029년에는 84조 원까지 증액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군 관련 기반 시설이나 연구개발비용 등을 간접 국방비로 포함해 대응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정부는 또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에도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동맹 현대화의) 주안점은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현대화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더 많은 역할을 하도록 현대화한다…."]
한반도 안보에 우리가 보다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다만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이 유지될 거라고 단언하며 미군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에 선을 그었습니다.
한편, 주요 이슈로 꼽혔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8·25 한미 정상회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