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홀로 택시 타고 하늘로…‘저공경제’ 날개펴는 중국

입력 2025.08.08 (21:26) 수정 2025.08.09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꽉 막힌 도로를 피해 하늘을 나는 상상, 중국에선 곧 현실이 될 듯 합니다.

조종사 없이도 탑승할 수 있는 에어택시를 공개하는 등 중국이 새로운 항공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광저우에서 김민정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프로펠러 16개가 일제히 회전을 시작하면서 6미터 길이 항공기가 공중으로 떠오릅니다.

무인 자율비행 시스템을 갖춘 덕에 전문 조종사 없이도 탑승과 비행이 가능합니다.

이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는 올해 3월, 중국 당국의 운항 허가를 획득해, 실제 운항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우선은 도심 내 단거리 비행에 적합하다는 평가인데, 소음은 있지만 비행 전 과정이 안정적입니다.

제가 이렇게 컵에 물을 따라봤는데요.

보시다시피 비행 중에도 흘러넘치지 않습니다.

교통체증을 피해 하늘을 나는 '에어택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하이 시민 : "(친구들) 통근 시간이 한 시간 넘게 걸리는데 에어택시가 생기면 모두의 출퇴근이 편해질 것 같아요."]

전기 배터리를 활용해 헬리콥터보다 싼 비용으로 도시 간 이동이 가능한 기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8개 프로펠러 중 일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비행기처럼 양력을 이용해 속도를 높이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중국 정부는 고도 1km 이하 하늘에서 드론 등을 활용해 이뤄지는 '저공 경제' 규모가 2030년이면 우리 돈 약 386조 원에 달할 걸로 추산합니다.

유명 완성차 업체들까지 속속 개발에 뛰어들고, 젊은 연구 인력들도 저공 경제에 몰리고 있습니다.

[유창하오/칭화대 대학원 진학 예정/산학협력 참여 : "더 많은 취업 기회가 생겨날 거고, 더 큰 자금이 투입될 겁니다."]

중국은 저공경제에도 국가적 역량을 투입해 6천 건 넘는 특허를 따내며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화면제공:중국 이항·에어로푸지아·샤오펑/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정지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 홀로 택시 타고 하늘로…‘저공경제’ 날개펴는 중국
    • 입력 2025-08-08 21:26:17
    • 수정2025-08-09 07:58:48
    뉴스 9
[앵커]

꽉 막힌 도로를 피해 하늘을 나는 상상, 중국에선 곧 현실이 될 듯 합니다.

조종사 없이도 탑승할 수 있는 에어택시를 공개하는 등 중국이 새로운 항공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광저우에서 김민정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프로펠러 16개가 일제히 회전을 시작하면서 6미터 길이 항공기가 공중으로 떠오릅니다.

무인 자율비행 시스템을 갖춘 덕에 전문 조종사 없이도 탑승과 비행이 가능합니다.

이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는 올해 3월, 중국 당국의 운항 허가를 획득해, 실제 운항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우선은 도심 내 단거리 비행에 적합하다는 평가인데, 소음은 있지만 비행 전 과정이 안정적입니다.

제가 이렇게 컵에 물을 따라봤는데요.

보시다시피 비행 중에도 흘러넘치지 않습니다.

교통체증을 피해 하늘을 나는 '에어택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하이 시민 : "(친구들) 통근 시간이 한 시간 넘게 걸리는데 에어택시가 생기면 모두의 출퇴근이 편해질 것 같아요."]

전기 배터리를 활용해 헬리콥터보다 싼 비용으로 도시 간 이동이 가능한 기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8개 프로펠러 중 일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비행기처럼 양력을 이용해 속도를 높이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중국 정부는 고도 1km 이하 하늘에서 드론 등을 활용해 이뤄지는 '저공 경제' 규모가 2030년이면 우리 돈 약 386조 원에 달할 걸로 추산합니다.

유명 완성차 업체들까지 속속 개발에 뛰어들고, 젊은 연구 인력들도 저공 경제에 몰리고 있습니다.

[유창하오/칭화대 대학원 진학 예정/산학협력 참여 : "더 많은 취업 기회가 생겨날 거고, 더 큰 자금이 투입될 겁니다."]

중국은 저공경제에도 국가적 역량을 투입해 6천 건 넘는 특허를 따내며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광저우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화면제공:중국 이항·에어로푸지아·샤오펑/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정지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