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발 반도체 대호황…“인재·전기 확보 정부 나서야”

입력 2025.07.11 (21:16) 수정 2025.07.11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우리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혁명으로 급증한 반도체 수요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필요한 부분은 뭔지,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 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발 반도체 대호황…“인재·전기 확보 정부 나서야”
    • 입력 2025-07-11 21:16:20
    • 수정2025-07-11 22:06:27
    뉴스 9
[앵커]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우리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혁명으로 급증한 반도체 수요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필요한 부분은 뭔지,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 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