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숨졌는데 또 다슬기 잡이 ‘안전불감증’
입력 2025.07.10 (21:41)
수정 2025.07.10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9일) 충청남도 금강 상류에서 20대 네 명이 물놀이를 하다가 숨졌습니다.
수영을 하거나 다슬기를 잡으러 물에 들어가는 게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10일)도 사고 장소에선 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박연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속이 빠르고 수심 변화가 심한 금강 상류.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이곳에서 물놀이하던 20대 남성 4명이 실종됐습니다.
수색 3시간 만에 발견된 이들은 모두 숨졌습니다.
[김유택/충남금산소방서 현장대응1단장 : "물놀이하다가 4명이 안 보인다고 했던, 그런 신고 상황이었고. 또 수영을 전혀 못 한다, 친구들이…"]
사고가 난 곳은 수심 3m에 물살까지 강해 수영이 금지된 곳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옛날부터 물이 돈다고 그래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그냥 가라앉는 거예요. 그러니까 저기 들어가지 말라고 저렇게 줄을 쳐놨잖아요."]
지금 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무릎 정도의 깊이지만, 부표만 넘어서면 금방 수심이 2~3m로 깊어집니다.
그런데 사고 이튿날에도 다슬기를 잡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명조끼 등 안전 장비를 갖춘 사람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다슬기 채취자/음성변조 : "아유, 여기는 우리는 자주 오니까, 위험하다는 생각은 없습니다."]
수난사고가 잦은 곳이어서 현장에 안전요원이 배치됐지만 인명구조 자격증은 없고 별다른 제지도 없습니다.
[구태완/충남 금산군 안전건설국장 : "연로하신 분들이 많아서 65세 미만으로 안전 구조 요원을 채용했습니다."]
관할 자치단체는 재난감시 CCTV와 안내방송 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지만 안전불감증과 땜질식 처방으로 인명 피해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안성복
어제(9일) 충청남도 금강 상류에서 20대 네 명이 물놀이를 하다가 숨졌습니다.
수영을 하거나 다슬기를 잡으러 물에 들어가는 게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10일)도 사고 장소에선 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박연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속이 빠르고 수심 변화가 심한 금강 상류.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이곳에서 물놀이하던 20대 남성 4명이 실종됐습니다.
수색 3시간 만에 발견된 이들은 모두 숨졌습니다.
[김유택/충남금산소방서 현장대응1단장 : "물놀이하다가 4명이 안 보인다고 했던, 그런 신고 상황이었고. 또 수영을 전혀 못 한다, 친구들이…"]
사고가 난 곳은 수심 3m에 물살까지 강해 수영이 금지된 곳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옛날부터 물이 돈다고 그래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그냥 가라앉는 거예요. 그러니까 저기 들어가지 말라고 저렇게 줄을 쳐놨잖아요."]
지금 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무릎 정도의 깊이지만, 부표만 넘어서면 금방 수심이 2~3m로 깊어집니다.
그런데 사고 이튿날에도 다슬기를 잡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명조끼 등 안전 장비를 갖춘 사람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다슬기 채취자/음성변조 : "아유, 여기는 우리는 자주 오니까, 위험하다는 생각은 없습니다."]
수난사고가 잦은 곳이어서 현장에 안전요원이 배치됐지만 인명구조 자격증은 없고 별다른 제지도 없습니다.
[구태완/충남 금산군 안전건설국장 : "연로하신 분들이 많아서 65세 미만으로 안전 구조 요원을 채용했습니다."]
관할 자치단체는 재난감시 CCTV와 안내방송 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지만 안전불감증과 땜질식 처방으로 인명 피해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명 숨졌는데 또 다슬기 잡이 ‘안전불감증’
-
- 입력 2025-07-10 21:41:01
- 수정2025-07-10 21:47:30

[앵커]
어제(9일) 충청남도 금강 상류에서 20대 네 명이 물놀이를 하다가 숨졌습니다.
수영을 하거나 다슬기를 잡으러 물에 들어가는 게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10일)도 사고 장소에선 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박연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속이 빠르고 수심 변화가 심한 금강 상류.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이곳에서 물놀이하던 20대 남성 4명이 실종됐습니다.
수색 3시간 만에 발견된 이들은 모두 숨졌습니다.
[김유택/충남금산소방서 현장대응1단장 : "물놀이하다가 4명이 안 보인다고 했던, 그런 신고 상황이었고. 또 수영을 전혀 못 한다, 친구들이…"]
사고가 난 곳은 수심 3m에 물살까지 강해 수영이 금지된 곳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옛날부터 물이 돈다고 그래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그냥 가라앉는 거예요. 그러니까 저기 들어가지 말라고 저렇게 줄을 쳐놨잖아요."]
지금 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무릎 정도의 깊이지만, 부표만 넘어서면 금방 수심이 2~3m로 깊어집니다.
그런데 사고 이튿날에도 다슬기를 잡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명조끼 등 안전 장비를 갖춘 사람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다슬기 채취자/음성변조 : "아유, 여기는 우리는 자주 오니까, 위험하다는 생각은 없습니다."]
수난사고가 잦은 곳이어서 현장에 안전요원이 배치됐지만 인명구조 자격증은 없고 별다른 제지도 없습니다.
[구태완/충남 금산군 안전건설국장 : "연로하신 분들이 많아서 65세 미만으로 안전 구조 요원을 채용했습니다."]
관할 자치단체는 재난감시 CCTV와 안내방송 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지만 안전불감증과 땜질식 처방으로 인명 피해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안성복
어제(9일) 충청남도 금강 상류에서 20대 네 명이 물놀이를 하다가 숨졌습니다.
수영을 하거나 다슬기를 잡으러 물에 들어가는 게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10일)도 사고 장소에선 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박연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속이 빠르고 수심 변화가 심한 금강 상류.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이곳에서 물놀이하던 20대 남성 4명이 실종됐습니다.
수색 3시간 만에 발견된 이들은 모두 숨졌습니다.
[김유택/충남금산소방서 현장대응1단장 : "물놀이하다가 4명이 안 보인다고 했던, 그런 신고 상황이었고. 또 수영을 전혀 못 한다, 친구들이…"]
사고가 난 곳은 수심 3m에 물살까지 강해 수영이 금지된 곳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옛날부터 물이 돈다고 그래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그냥 가라앉는 거예요. 그러니까 저기 들어가지 말라고 저렇게 줄을 쳐놨잖아요."]
지금 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무릎 정도의 깊이지만, 부표만 넘어서면 금방 수심이 2~3m로 깊어집니다.
그런데 사고 이튿날에도 다슬기를 잡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명조끼 등 안전 장비를 갖춘 사람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다슬기 채취자/음성변조 : "아유, 여기는 우리는 자주 오니까, 위험하다는 생각은 없습니다."]
수난사고가 잦은 곳이어서 현장에 안전요원이 배치됐지만 인명구조 자격증은 없고 별다른 제지도 없습니다.
[구태완/충남 금산군 안전건설국장 : "연로하신 분들이 많아서 65세 미만으로 안전 구조 요원을 채용했습니다."]
관할 자치단체는 재난감시 CCTV와 안내방송 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지만 안전불감증과 땜질식 처방으로 인명 피해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안성복
-
-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박연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