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도 못 쉬어요”…농촌 온열질환자 속출

입력 2025.07.07 (21:06) 수정 2025.07.07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런 폭염에 유독 농촌에서 온열질환자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손을 놓지 못하는 농촌 어르신들이 쓰러지는 겁니다.

고령일수록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조심하셔야 합니다.

성용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리쬐는 뙤약볕 속에 70대 농민이 들깨 모종을 옮깁니다.

오전인데도 벌써 30도를 훌쩍 넘은 기온.

땀은 비 오듯 쏟아지고 틈틈이 물을 마셔도 더위를 식히기엔 잠시뿐입니다.

[김용주/들깨 재배 농민 : "일이 자꾸 늦어질 때가 있어요. 늦어지면 이렇게 뙤약볕에서도 많이 하고. 하다 보면 지치고 땀 나고."]

비닐하우스 안은 그야말로 찜통입니다.

이렇게 환풍기 10여 대가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지만,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40도에 육박합니다.

수시로 딸기 잎을 솎아내야 해 폭염에도 일을 쉴 수 없습니다.

[조성철/딸기 재배 농민 : "거의 매일 나와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날씨와 관계없이. 솎아내기 작업을 해 줘야 통풍도 잘 되고 건강하게 자라기 때문에."]

이렇다 보니 충남의 경우 지난해 발생한 온열질환자의 3분의 1가량이 농민들이었습니다.

특히 고령자는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외부 온도 변화에 둔감하기 때문에 폭염에 더 취약합니다.

계속된 열대야로 체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장시간 야외 작업을 할 경우 자칫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습니다.

보건당국은 야외 작업을 할 때는 그늘에서 자주 쉬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것을 권고합니다.

또 기온이 치솟는 한낮에는 가급적 작업을 피하고 반드시 두 명 이상이 함께 작업할 것을 당부합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염에도 못 쉬어요”…농촌 온열질환자 속출
    • 입력 2025-07-07 21:06:20
    • 수정2025-07-07 22:07:01
    뉴스 9
[앵커]

이런 폭염에 유독 농촌에서 온열질환자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손을 놓지 못하는 농촌 어르신들이 쓰러지는 겁니다.

고령일수록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조심하셔야 합니다.

성용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리쬐는 뙤약볕 속에 70대 농민이 들깨 모종을 옮깁니다.

오전인데도 벌써 30도를 훌쩍 넘은 기온.

땀은 비 오듯 쏟아지고 틈틈이 물을 마셔도 더위를 식히기엔 잠시뿐입니다.

[김용주/들깨 재배 농민 : "일이 자꾸 늦어질 때가 있어요. 늦어지면 이렇게 뙤약볕에서도 많이 하고. 하다 보면 지치고 땀 나고."]

비닐하우스 안은 그야말로 찜통입니다.

이렇게 환풍기 10여 대가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지만,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40도에 육박합니다.

수시로 딸기 잎을 솎아내야 해 폭염에도 일을 쉴 수 없습니다.

[조성철/딸기 재배 농민 : "거의 매일 나와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날씨와 관계없이. 솎아내기 작업을 해 줘야 통풍도 잘 되고 건강하게 자라기 때문에."]

이렇다 보니 충남의 경우 지난해 발생한 온열질환자의 3분의 1가량이 농민들이었습니다.

특히 고령자는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외부 온도 변화에 둔감하기 때문에 폭염에 더 취약합니다.

계속된 열대야로 체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장시간 야외 작업을 할 경우 자칫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습니다.

보건당국은 야외 작업을 할 때는 그늘에서 자주 쉬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것을 권고합니다.

또 기온이 치솟는 한낮에는 가급적 작업을 피하고 반드시 두 명 이상이 함께 작업할 것을 당부합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