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본 간부 “계엄 당일 윤승영에 ‘방첩사 체포조 지원’ 보고”

입력 2025.05.21 (18:46) 수정 2025.05.21 (1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상계엄 당시 국군 방첩사령부의 체포조 지원 요청을 받은 경찰 간부가 윤승영 전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에게 이를 보고했다고 법정에서 증언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오늘(21일) 조지호 경찰청장과 윤 전 조정관 등 경찰 지휘부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사건 8차 공판을 열었습니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현일 전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은 지난해 12월 3일 구민회 방첩사령부 수사조정과장으로부터 “방첩사에서 국회에 체포조를 보낼 건데 인솔하고 같이 움직일 형사 다섯 명이 필요하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이후 상관인 윤 전 조정관에게 전화해 방첩사에서 연락받은 내용을 그대로 보고했다며 “‘국수본에서 지원을 해달라고 하는데 인력이 없으니 영등포(서)에서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이후 통화에서 윤 전 조정관이 자신에게 “청장님 보고드렸다, 영등포 형사(를) 사복으로 보내줘라”라는 말을 했다고도 했습니다.

방첩사의 체포 지원 요청이 이 전 계장을 거쳐 윤 전 조정관에게 전달됐고, 윤 전 조정관이 이를 조 청장에게 보고해 승인·지시를 받았다는 검찰 조사 내용을 뒷받침하는 증언입니다.

이 전 계장은 지난달 29일 7차 공판에 출석해 방첩사가 누구를 체포하러 간다고 생각했는지를 묻는 검사 질문에 “국회에 출동하니 국회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의원도 배제할 수 없다는 취지”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방첩사가 자체 계획으로 움직일 텐데 현장을 인솔해 달라니까 저희는 이동을 안내하는 개념으로 이해했다”며 경찰과 체포조 활동의 연관성은 부인했습니다.

한편, 재판장인 지 부장판사는 자신을 둘러싼 ‘유흥업소 접대 의혹’과 관련해 오늘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지난 1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에 앞서 “의혹 제기 내용은 사실이 아니고 그런 데 가서 접대받는 건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당일 오후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사진 등과 관련해서는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수본 간부 “계엄 당일 윤승영에 ‘방첩사 체포조 지원’ 보고”
    • 입력 2025-05-21 18:46:30
    • 수정2025-05-21 18:49:20
    사회
비상계엄 당시 국군 방첩사령부의 체포조 지원 요청을 받은 경찰 간부가 윤승영 전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에게 이를 보고했다고 법정에서 증언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오늘(21일) 조지호 경찰청장과 윤 전 조정관 등 경찰 지휘부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사건 8차 공판을 열었습니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현일 전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은 지난해 12월 3일 구민회 방첩사령부 수사조정과장으로부터 “방첩사에서 국회에 체포조를 보낼 건데 인솔하고 같이 움직일 형사 다섯 명이 필요하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이후 상관인 윤 전 조정관에게 전화해 방첩사에서 연락받은 내용을 그대로 보고했다며 “‘국수본에서 지원을 해달라고 하는데 인력이 없으니 영등포(서)에서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이후 통화에서 윤 전 조정관이 자신에게 “청장님 보고드렸다, 영등포 형사(를) 사복으로 보내줘라”라는 말을 했다고도 했습니다.

방첩사의 체포 지원 요청이 이 전 계장을 거쳐 윤 전 조정관에게 전달됐고, 윤 전 조정관이 이를 조 청장에게 보고해 승인·지시를 받았다는 검찰 조사 내용을 뒷받침하는 증언입니다.

이 전 계장은 지난달 29일 7차 공판에 출석해 방첩사가 누구를 체포하러 간다고 생각했는지를 묻는 검사 질문에 “국회에 출동하니 국회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의원도 배제할 수 없다는 취지”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방첩사가 자체 계획으로 움직일 텐데 현장을 인솔해 달라니까 저희는 이동을 안내하는 개념으로 이해했다”며 경찰과 체포조 활동의 연관성은 부인했습니다.

한편, 재판장인 지 부장판사는 자신을 둘러싼 ‘유흥업소 접대 의혹’과 관련해 오늘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지난 1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에 앞서 “의혹 제기 내용은 사실이 아니고 그런 데 가서 접대받는 건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당일 오후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사진 등과 관련해서는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