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10번 중 8번은 ‘카드 결제’…현금 사라진 일상
입력 2025.05.21 (18:28)
수정 2025.05.21 (18: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 런던의 버스킹 연주자입니다.
앞에 놓여 있는 것, 카드 리더기입니다.
팁을 카드로 받는 거죠.
중국에선 노숙인들도 QR코드로 구걸한다죠.
디지털 결제가 일상이 된 풍경인데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서울 시내버스 기사/KBS '해 볼만한 아침'/2023년 5월/음성변조 : "요즘엔 현금 내는 사람 별로 없어요. (카드가 없으면) 계좌이체 하셔야 하는데요."]
버스에서 현금 통이 사라졌습니다.
2021년 서울시의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인천과 대전, 제주 등도 현금 없는 버스를 속속 도입했죠.
과거 지나가다 쉽게 눈에 띄던 ATM 기계도 3년 새 7천 대 가까이 사라졌습니다.
[KBS '수상한 그녀' : "주문은 저쪽 키오스크에서 하면 되세요. (뭔 스크요?)"]
현금 없는 매장도 늘고 있죠.
특히 무인 키오스크에선 현금 결제가 아예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에도 키오스크가 등장해 축의금과 조의금까지 카드로 받고, 심지어 할부 결제도 가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현금 사용 비중은 15.9%.
실물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카드 결제는 75%를 훌쩍 넘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걸 금지해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한 정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현금 없는 사회는 돈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장점이 큽니다.
하지만 그늘도 분명 존재합니다.
2021년, KT의 인터넷망 장애로 결제 시스템이 멈춰 사회 전체가 혼란이 빠진 적도 있었죠.
[노인석/카페 운영/KBS 뉴스/2021년 10월 : "인터넷도 안 되고 모바일도 안 되고 가게 카드 결제기도 안 되고. 아예 그냥 문을 닫고 있었죠. 배달 앱이나 주문 자체가 아예 안 들어오니까."]
통신 장애나 전력 차단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선 현금 없는 사회의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또, 현금 선호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 노년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불편도 간과할 수 없는데요.
[지흥식/당시 86세/KBS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2020년 7월 :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요, '카드를 어디다 누르고 하세요' 그래요. 우리는 저거 못하는데. 저걸 어떡해."]
편리함의 속도만큼 모두를 위한 접근성과 안전장치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앞에 놓여 있는 것, 카드 리더기입니다.
팁을 카드로 받는 거죠.
중국에선 노숙인들도 QR코드로 구걸한다죠.
디지털 결제가 일상이 된 풍경인데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서울 시내버스 기사/KBS '해 볼만한 아침'/2023년 5월/음성변조 : "요즘엔 현금 내는 사람 별로 없어요. (카드가 없으면) 계좌이체 하셔야 하는데요."]
버스에서 현금 통이 사라졌습니다.
2021년 서울시의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인천과 대전, 제주 등도 현금 없는 버스를 속속 도입했죠.
과거 지나가다 쉽게 눈에 띄던 ATM 기계도 3년 새 7천 대 가까이 사라졌습니다.
[KBS '수상한 그녀' : "주문은 저쪽 키오스크에서 하면 되세요. (뭔 스크요?)"]
현금 없는 매장도 늘고 있죠.
특히 무인 키오스크에선 현금 결제가 아예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에도 키오스크가 등장해 축의금과 조의금까지 카드로 받고, 심지어 할부 결제도 가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현금 사용 비중은 15.9%.
실물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카드 결제는 75%를 훌쩍 넘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걸 금지해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한 정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현금 없는 사회는 돈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장점이 큽니다.
하지만 그늘도 분명 존재합니다.
2021년, KT의 인터넷망 장애로 결제 시스템이 멈춰 사회 전체가 혼란이 빠진 적도 있었죠.
[노인석/카페 운영/KBS 뉴스/2021년 10월 : "인터넷도 안 되고 모바일도 안 되고 가게 카드 결제기도 안 되고. 아예 그냥 문을 닫고 있었죠. 배달 앱이나 주문 자체가 아예 안 들어오니까."]
통신 장애나 전력 차단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선 현금 없는 사회의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또, 현금 선호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 노년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불편도 간과할 수 없는데요.
[지흥식/당시 86세/KBS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2020년 7월 :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요, '카드를 어디다 누르고 하세요' 그래요. 우리는 저거 못하는데. 저걸 어떡해."]
편리함의 속도만큼 모두를 위한 접근성과 안전장치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10번 중 8번은 ‘카드 결제’…현금 사라진 일상
-
- 입력 2025-05-21 18:28:33
- 수정2025-05-21 18:35:22

영국 런던의 버스킹 연주자입니다.
앞에 놓여 있는 것, 카드 리더기입니다.
팁을 카드로 받는 거죠.
중국에선 노숙인들도 QR코드로 구걸한다죠.
디지털 결제가 일상이 된 풍경인데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서울 시내버스 기사/KBS '해 볼만한 아침'/2023년 5월/음성변조 : "요즘엔 현금 내는 사람 별로 없어요. (카드가 없으면) 계좌이체 하셔야 하는데요."]
버스에서 현금 통이 사라졌습니다.
2021년 서울시의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인천과 대전, 제주 등도 현금 없는 버스를 속속 도입했죠.
과거 지나가다 쉽게 눈에 띄던 ATM 기계도 3년 새 7천 대 가까이 사라졌습니다.
[KBS '수상한 그녀' : "주문은 저쪽 키오스크에서 하면 되세요. (뭔 스크요?)"]
현금 없는 매장도 늘고 있죠.
특히 무인 키오스크에선 현금 결제가 아예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에도 키오스크가 등장해 축의금과 조의금까지 카드로 받고, 심지어 할부 결제도 가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현금 사용 비중은 15.9%.
실물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카드 결제는 75%를 훌쩍 넘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걸 금지해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한 정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현금 없는 사회는 돈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장점이 큽니다.
하지만 그늘도 분명 존재합니다.
2021년, KT의 인터넷망 장애로 결제 시스템이 멈춰 사회 전체가 혼란이 빠진 적도 있었죠.
[노인석/카페 운영/KBS 뉴스/2021년 10월 : "인터넷도 안 되고 모바일도 안 되고 가게 카드 결제기도 안 되고. 아예 그냥 문을 닫고 있었죠. 배달 앱이나 주문 자체가 아예 안 들어오니까."]
통신 장애나 전력 차단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선 현금 없는 사회의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또, 현금 선호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 노년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불편도 간과할 수 없는데요.
[지흥식/당시 86세/KBS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2020년 7월 :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요, '카드를 어디다 누르고 하세요' 그래요. 우리는 저거 못하는데. 저걸 어떡해."]
편리함의 속도만큼 모두를 위한 접근성과 안전장치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앞에 놓여 있는 것, 카드 리더기입니다.
팁을 카드로 받는 거죠.
중국에선 노숙인들도 QR코드로 구걸한다죠.
디지털 결제가 일상이 된 풍경인데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서울 시내버스 기사/KBS '해 볼만한 아침'/2023년 5월/음성변조 : "요즘엔 현금 내는 사람 별로 없어요. (카드가 없으면) 계좌이체 하셔야 하는데요."]
버스에서 현금 통이 사라졌습니다.
2021년 서울시의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인천과 대전, 제주 등도 현금 없는 버스를 속속 도입했죠.
과거 지나가다 쉽게 눈에 띄던 ATM 기계도 3년 새 7천 대 가까이 사라졌습니다.
[KBS '수상한 그녀' : "주문은 저쪽 키오스크에서 하면 되세요. (뭔 스크요?)"]
현금 없는 매장도 늘고 있죠.
특히 무인 키오스크에선 현금 결제가 아예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에도 키오스크가 등장해 축의금과 조의금까지 카드로 받고, 심지어 할부 결제도 가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현금 사용 비중은 15.9%.
실물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카드 결제는 75%를 훌쩍 넘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걸 금지해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한 정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현금 없는 사회는 돈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장점이 큽니다.
하지만 그늘도 분명 존재합니다.
2021년, KT의 인터넷망 장애로 결제 시스템이 멈춰 사회 전체가 혼란이 빠진 적도 있었죠.
[노인석/카페 운영/KBS 뉴스/2021년 10월 : "인터넷도 안 되고 모바일도 안 되고 가게 카드 결제기도 안 되고. 아예 그냥 문을 닫고 있었죠. 배달 앱이나 주문 자체가 아예 안 들어오니까."]
통신 장애나 전력 차단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선 현금 없는 사회의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또, 현금 선호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 노년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불편도 간과할 수 없는데요.
[지흥식/당시 86세/KBS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2020년 7월 :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요, '카드를 어디다 누르고 하세요' 그래요. 우리는 저거 못하는데. 저걸 어떡해."]
편리함의 속도만큼 모두를 위한 접근성과 안전장치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