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개헌 순차적으로 해나가야…대통령 임기 단축은 신중할 필요”
입력 2025.05.18 (11:38)
수정 2025.05.18 (1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개헌은 일방적으로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국민적 합의를 통해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선에서 순차적으로 해나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오늘(18일) 광주 5·18 기념식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나 “당연히 개헌을 하려면 200명 이상의 국회의원 동의가 필요하고 또 구여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더 크게 보면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너무 무리하게 전면적으로 개헌하려다 아무 것도 못하는것보다는 합의되는 것부터 하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후보는 “광주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은 구여권도 때만 되면 말로는 동의하지 않냐”며 “다른건 몰라도 5·18 전문 수록은 합의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그 부분만이라도 개헌할 수 있다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후보는 “지금 (국민의힘) 상태로 봐서는 난망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워낙 말을 많이 바꿔서 진심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습니다.
대통령 임기 단축 내용을 전제한 개헌 논의에는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이 후보는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제가 (지난 대선 등에서) 임기 1년 단축을 이야기한 건 지방선거와 주기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 한 측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엔 지방선거 시점과 딱 맞아 떨어지는데 굳이 그걸 더 당겨서 하자는 건 대통령 직위를 개인적 영예나 사익을 위한 권력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발상”이라며 “국민을 위한 역사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면 그리 가볍게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후보는 “주기는 지방행정과 중앙행정을 좀 맞추고 총선으로 중간평가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며 “자꾸 임기 단축 이야기를 하는데 3년한다는 건 개헌을 하기 위해 대선을 치른다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개헌보다 중요한 건 국가 안정이고 민생회복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한반도 평화와 사회 공동체에 안전 확보하는 것”이라며 “일 중심, 국민 중심으로 보면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개헌 하는게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그것 역시 국민 판단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후보는 오늘(18일) 광주 5·18 기념식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나 “당연히 개헌을 하려면 200명 이상의 국회의원 동의가 필요하고 또 구여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더 크게 보면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너무 무리하게 전면적으로 개헌하려다 아무 것도 못하는것보다는 합의되는 것부터 하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후보는 “광주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은 구여권도 때만 되면 말로는 동의하지 않냐”며 “다른건 몰라도 5·18 전문 수록은 합의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그 부분만이라도 개헌할 수 있다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후보는 “지금 (국민의힘) 상태로 봐서는 난망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워낙 말을 많이 바꿔서 진심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습니다.
대통령 임기 단축 내용을 전제한 개헌 논의에는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이 후보는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제가 (지난 대선 등에서) 임기 1년 단축을 이야기한 건 지방선거와 주기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 한 측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엔 지방선거 시점과 딱 맞아 떨어지는데 굳이 그걸 더 당겨서 하자는 건 대통령 직위를 개인적 영예나 사익을 위한 권력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발상”이라며 “국민을 위한 역사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면 그리 가볍게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후보는 “주기는 지방행정과 중앙행정을 좀 맞추고 총선으로 중간평가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며 “자꾸 임기 단축 이야기를 하는데 3년한다는 건 개헌을 하기 위해 대선을 치른다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개헌보다 중요한 건 국가 안정이고 민생회복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한반도 평화와 사회 공동체에 안전 확보하는 것”이라며 “일 중심, 국민 중심으로 보면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개헌 하는게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그것 역시 국민 판단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재명 “개헌 순차적으로 해나가야…대통령 임기 단축은 신중할 필요”
-
- 입력 2025-05-18 11:38:45
- 수정2025-05-18 11:49:06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개헌은 일방적으로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국민적 합의를 통해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선에서 순차적으로 해나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오늘(18일) 광주 5·18 기념식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나 “당연히 개헌을 하려면 200명 이상의 국회의원 동의가 필요하고 또 구여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더 크게 보면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너무 무리하게 전면적으로 개헌하려다 아무 것도 못하는것보다는 합의되는 것부터 하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후보는 “광주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은 구여권도 때만 되면 말로는 동의하지 않냐”며 “다른건 몰라도 5·18 전문 수록은 합의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그 부분만이라도 개헌할 수 있다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후보는 “지금 (국민의힘) 상태로 봐서는 난망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워낙 말을 많이 바꿔서 진심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습니다.
대통령 임기 단축 내용을 전제한 개헌 논의에는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이 후보는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제가 (지난 대선 등에서) 임기 1년 단축을 이야기한 건 지방선거와 주기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 한 측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엔 지방선거 시점과 딱 맞아 떨어지는데 굳이 그걸 더 당겨서 하자는 건 대통령 직위를 개인적 영예나 사익을 위한 권력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발상”이라며 “국민을 위한 역사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면 그리 가볍게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후보는 “주기는 지방행정과 중앙행정을 좀 맞추고 총선으로 중간평가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며 “자꾸 임기 단축 이야기를 하는데 3년한다는 건 개헌을 하기 위해 대선을 치른다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개헌보다 중요한 건 국가 안정이고 민생회복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한반도 평화와 사회 공동체에 안전 확보하는 것”이라며 “일 중심, 국민 중심으로 보면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개헌 하는게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그것 역시 국민 판단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후보는 오늘(18일) 광주 5·18 기념식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나 “당연히 개헌을 하려면 200명 이상의 국회의원 동의가 필요하고 또 구여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더 크게 보면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너무 무리하게 전면적으로 개헌하려다 아무 것도 못하는것보다는 합의되는 것부터 하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후보는 “광주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은 구여권도 때만 되면 말로는 동의하지 않냐”며 “다른건 몰라도 5·18 전문 수록은 합의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그 부분만이라도 개헌할 수 있다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후보는 “지금 (국민의힘) 상태로 봐서는 난망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워낙 말을 많이 바꿔서 진심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습니다.
대통령 임기 단축 내용을 전제한 개헌 논의에는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이 후보는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제가 (지난 대선 등에서) 임기 1년 단축을 이야기한 건 지방선거와 주기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 한 측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엔 지방선거 시점과 딱 맞아 떨어지는데 굳이 그걸 더 당겨서 하자는 건 대통령 직위를 개인적 영예나 사익을 위한 권력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발상”이라며 “국민을 위한 역사적 책임이라고 생각하면 그리 가볍게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후보는 “주기는 지방행정과 중앙행정을 좀 맞추고 총선으로 중간평가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며 “자꾸 임기 단축 이야기를 하는데 3년한다는 건 개헌을 하기 위해 대선을 치른다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개헌보다 중요한 건 국가 안정이고 민생회복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한반도 평화와 사회 공동체에 안전 확보하는 것”이라며 “일 중심, 국민 중심으로 보면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개헌 하는게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그것 역시 국민 판단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