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인터넷 전화 ‘스카이프’ 22년 만에 서비스 종료
입력 2025.05.06 (18:49)
수정 2025.05.06 (1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때 전 세계 수억명이 사용하는 '국경 없는 전화'였던 스카이프(Skype)가 22년 만에 서비스를 마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현지시간 5일을 마지막으로 인터넷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 스카이프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2003년 에스토니아인 야누스 프리스와 니클라스 젠스트롬이 개발한 스카이프는 VoIP(인터넷 전화) 기술을 활용, 기존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으로 직접 통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해 폭발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2005년 이베이에 26억 달러에 인수된데 이어 2011년 85억 달러에 MS에 매각됐고, 한때 3억명이 넘는 이용자 수를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등장으로 차츰 위상이 하락하던 스카이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을 계기로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등에 밀려났습니다.
MS도 스카이프 대신 자사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Teams) 앱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WP는 스카이프에 대해 "많은 이들에게 개방형 인터넷 초기의 가치를 체현하는 서비스로 여겨졌으나, 진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적응하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카이프로 다른 나라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늦은 밤 무료 통화를 하거나 원거리 연애를 하던 경험을 떠올린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이별의 메시지를 올리며 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보기술(IT) 분야 언론인 겸 방송인 윌 구야트는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스카이프는 내 마음의 지평을 넓혀줬다"고 말했습니다. 구야트는 "정말로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면서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는 현지시간 5일을 마지막으로 인터넷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 스카이프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2003년 에스토니아인 야누스 프리스와 니클라스 젠스트롬이 개발한 스카이프는 VoIP(인터넷 전화) 기술을 활용, 기존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으로 직접 통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해 폭발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2005년 이베이에 26억 달러에 인수된데 이어 2011년 85억 달러에 MS에 매각됐고, 한때 3억명이 넘는 이용자 수를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등장으로 차츰 위상이 하락하던 스카이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을 계기로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등에 밀려났습니다.
MS도 스카이프 대신 자사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Teams) 앱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WP는 스카이프에 대해 "많은 이들에게 개방형 인터넷 초기의 가치를 체현하는 서비스로 여겨졌으나, 진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적응하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카이프로 다른 나라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늦은 밤 무료 통화를 하거나 원거리 연애를 하던 경험을 떠올린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이별의 메시지를 올리며 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보기술(IT) 분야 언론인 겸 방송인 윌 구야트는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스카이프는 내 마음의 지평을 넓혀줬다"고 말했습니다. 구야트는 "정말로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면서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조’ 인터넷 전화 ‘스카이프’ 22년 만에 서비스 종료
-
- 입력 2025-05-06 18:49:09
- 수정2025-05-06 19:29:52

한때 전 세계 수억명이 사용하는 '국경 없는 전화'였던 스카이프(Skype)가 22년 만에 서비스를 마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현지시간 5일을 마지막으로 인터넷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 스카이프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2003년 에스토니아인 야누스 프리스와 니클라스 젠스트롬이 개발한 스카이프는 VoIP(인터넷 전화) 기술을 활용, 기존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으로 직접 통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해 폭발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2005년 이베이에 26억 달러에 인수된데 이어 2011년 85억 달러에 MS에 매각됐고, 한때 3억명이 넘는 이용자 수를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등장으로 차츰 위상이 하락하던 스카이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을 계기로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등에 밀려났습니다.
MS도 스카이프 대신 자사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Teams) 앱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WP는 스카이프에 대해 "많은 이들에게 개방형 인터넷 초기의 가치를 체현하는 서비스로 여겨졌으나, 진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적응하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카이프로 다른 나라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늦은 밤 무료 통화를 하거나 원거리 연애를 하던 경험을 떠올린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이별의 메시지를 올리며 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보기술(IT) 분야 언론인 겸 방송인 윌 구야트는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스카이프는 내 마음의 지평을 넓혀줬다"고 말했습니다. 구야트는 "정말로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면서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는 현지시간 5일을 마지막으로 인터넷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 스카이프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2003년 에스토니아인 야누스 프리스와 니클라스 젠스트롬이 개발한 스카이프는 VoIP(인터넷 전화) 기술을 활용, 기존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으로 직접 통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해 폭발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2005년 이베이에 26억 달러에 인수된데 이어 2011년 85억 달러에 MS에 매각됐고, 한때 3억명이 넘는 이용자 수를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등장으로 차츰 위상이 하락하던 스카이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을 계기로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등에 밀려났습니다.
MS도 스카이프 대신 자사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Teams) 앱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WP는 스카이프에 대해 "많은 이들에게 개방형 인터넷 초기의 가치를 체현하는 서비스로 여겨졌으나, 진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적응하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카이프로 다른 나라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늦은 밤 무료 통화를 하거나 원거리 연애를 하던 경험을 떠올린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이별의 메시지를 올리며 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보기술(IT) 분야 언론인 겸 방송인 윌 구야트는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스카이프는 내 마음의 지평을 넓혀줬다"고 말했습니다. 구야트는 "정말로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면서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