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대그룹 매출, GDP의 40% 차지…전체 대기업은 80%
입력 2025.05.06 (13:50)
수정 2025.05.06 (13: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5대 그룹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지정된 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549조 1,000억 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 6,000억 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 1,000억 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에 매출이 집중돼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는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 331조 8,000억 원입니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 8,000억 원·11.0%), SK(205조 9,000억 원·8.1%) 순이었습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 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습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습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습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지정된 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549조 1,000억 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 6,000억 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 1,000억 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에 매출이 집중돼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는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 331조 8,000억 원입니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 8,000억 원·11.0%), SK(205조 9,000억 원·8.1%) 순이었습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 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습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습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습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작년 5대그룹 매출, GDP의 40% 차지…전체 대기업은 80%
-
- 입력 2025-05-06 13:50:12
- 수정2025-05-06 13:59:00

지난해 5대 그룹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지정된 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549조 1,000억 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 6,000억 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 1,000억 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에 매출이 집중돼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는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 331조 8,000억 원입니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 8,000억 원·11.0%), SK(205조 9,000억 원·8.1%) 순이었습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 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습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습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습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지정된 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549조 1,000억 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 6,000억 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 1,000억 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에 매출이 집중돼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는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 331조 8,000억 원입니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 8,000억 원·11.0%), SK(205조 9,000억 원·8.1%) 순이었습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 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습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습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습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