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서해 PMZ 무단 구조물’ 논의…서울서 해양협력대화
입력 2025.04.23 (19:19)
수정 2025.04.23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중 정부가 오늘(23일) 서울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해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 PMZ에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적 대응'을 포함해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중이 오늘 서울에서 제3차 국장급 해양협력대화를 진행했습니다.
2021년 1차와 2차 회의는 모두 화상으로 개최돼, 이번이 첫 대면 회의입니다.
정부는 한중 경계 획정 협상이 진행 중인 서해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한중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잠정조치수역, PMZ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며 2018년 선란 1호를, 2024년 선란 2호를 설치했습니다.
또 2022년에는 관리시설이라며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습니다.
지난 2월엔, 한국이 현장 조사에 나서자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구조물이 단순 양식 시설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우리 측과 협의 없이 시설을 짓고 우리의 접근과 조사까지 막는 건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 "정부는 서해에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기본 입장하에 앞으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오늘 열린 국회 외통위에서도 중국의 구조물 무단 설치에 대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우리도 중국처럼 구조물을 설치해서 비례적 대응을 해야한다는 지적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 대응 조치의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 등 모든 걸 염두에 두고 검토해서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시설이 고정식인지 아닌지도 확인이 되지 않았다며, 중국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
한중 정부가 오늘(23일) 서울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해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 PMZ에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적 대응'을 포함해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중이 오늘 서울에서 제3차 국장급 해양협력대화를 진행했습니다.
2021년 1차와 2차 회의는 모두 화상으로 개최돼, 이번이 첫 대면 회의입니다.
정부는 한중 경계 획정 협상이 진행 중인 서해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한중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잠정조치수역, PMZ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며 2018년 선란 1호를, 2024년 선란 2호를 설치했습니다.
또 2022년에는 관리시설이라며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습니다.
지난 2월엔, 한국이 현장 조사에 나서자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구조물이 단순 양식 시설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우리 측과 협의 없이 시설을 짓고 우리의 접근과 조사까지 막는 건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 "정부는 서해에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기본 입장하에 앞으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오늘 열린 국회 외통위에서도 중국의 구조물 무단 설치에 대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우리도 중국처럼 구조물을 설치해서 비례적 대응을 해야한다는 지적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 대응 조치의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 등 모든 걸 염두에 두고 검토해서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시설이 고정식인지 아닌지도 확인이 되지 않았다며, 중국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중, ‘서해 PMZ 무단 구조물’ 논의…서울서 해양협력대화
-
- 입력 2025-04-23 19:19:12
- 수정2025-04-23 19:43:26

[앵커]
한중 정부가 오늘(23일) 서울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해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 PMZ에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적 대응'을 포함해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중이 오늘 서울에서 제3차 국장급 해양협력대화를 진행했습니다.
2021년 1차와 2차 회의는 모두 화상으로 개최돼, 이번이 첫 대면 회의입니다.
정부는 한중 경계 획정 협상이 진행 중인 서해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한중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잠정조치수역, PMZ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며 2018년 선란 1호를, 2024년 선란 2호를 설치했습니다.
또 2022년에는 관리시설이라며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습니다.
지난 2월엔, 한국이 현장 조사에 나서자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구조물이 단순 양식 시설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우리 측과 협의 없이 시설을 짓고 우리의 접근과 조사까지 막는 건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 "정부는 서해에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기본 입장하에 앞으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오늘 열린 국회 외통위에서도 중국의 구조물 무단 설치에 대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우리도 중국처럼 구조물을 설치해서 비례적 대응을 해야한다는 지적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 대응 조치의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 등 모든 걸 염두에 두고 검토해서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시설이 고정식인지 아닌지도 확인이 되지 않았다며, 중국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
한중 정부가 오늘(23일) 서울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해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 PMZ에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적 대응'을 포함해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중이 오늘 서울에서 제3차 국장급 해양협력대화를 진행했습니다.
2021년 1차와 2차 회의는 모두 화상으로 개최돼, 이번이 첫 대면 회의입니다.
정부는 한중 경계 획정 협상이 진행 중인 서해 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한중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잠정조치수역, PMZ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며 2018년 선란 1호를, 2024년 선란 2호를 설치했습니다.
또 2022년에는 관리시설이라며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습니다.
지난 2월엔, 한국이 현장 조사에 나서자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중국은 서해 구조물이 단순 양식 시설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우리 측과 협의 없이 시설을 짓고 우리의 접근과 조사까지 막는 건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 "정부는 서해에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기본 입장하에 앞으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오늘 열린 국회 외통위에서도 중국의 구조물 무단 설치에 대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우리도 중국처럼 구조물을 설치해서 비례적 대응을 해야한다는 지적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비례 대응 조치의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 등 모든 걸 염두에 두고 검토해서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시설이 고정식인지 아닌지도 확인이 되지 않았다며, 중국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