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블랙핑크’ K-팝 이렇게 만든다…“한 곡에 작곡가 16명”

입력 2025.04.17 (21:48) 수정 2025.04.18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대중음악을 선도하는 K-팝.

BTS나 블랙핑크의 노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작곡가 한 명이 아닌 세계 여러 나라의 작곡가들이 협업해 한 곡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K-팝 탄생의 비법, 김현수 기자가 공개합니다.

[리포트]

신나는 펑키 리듬.

즉흥적인 선율.

여기에 반주가 더해져 K-팝의 밑그림이 나옵니다.

투입된 작곡가만 4명, 연령대도, 국적도 모두 다릅니다.

이들의 개성과 장점을 모아 노래를 만드는 이른바 '송캠프' 방식입니다.

이 곡을 포함한 전체 프로젝트에 8개국 79명의 작곡가가 참가했습니다.

[로니 스벤슨/작곡가/노르웨이 : "나쁘진 않은데, 거기 조금만 바꿔보면 어때?"]

2주간 매일 별도의 팀을 구성해 85곡을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소피 힌츠/작곡가/미국 : "혼자서는 절대 못 만들 곡들인데, 미국이나 유럽 여러 나라들, 그리고 한국의 프로듀서와 작곡가,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면 가능해지죠."]

이렇게 탄생한 노래들.

BTS '불타오르네'.

에스파 '스파이시'.

소속 아티스트에게 직접 주거나, 다른 기획사에 팔기도 합니다.

[최진석/음악 퍼블리셔 이사 : "빌보드 1등을 했던 그런 작가들마저도 실제로 참여를 함으로써 그런 다양한 색깔을 K-팝 안에 녹여내는…."]

'송캠프' 방식이 처음 도입된 건 2012년, 지금은 대형 기획사 대부분이 집단 창작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세계 정상급으로 올라선 K-팝 시장에 전 세계 작곡가들이 이름을 올리기 위해 한국의 '송캠프'를 교두보 삼고 있습니다.

[제이콥 에런/작곡가/영국 : "여기 온 이유는 단 하나, K-팝 작곡가로서 경력을 쌓기 위해서죠."]

K-팝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끌어낸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송캠프'가 꼽히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영/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최창준/화면제공:하이브·SM엔터테인먼트·YG엔터테인먼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BTS·블랙핑크’ K-팝 이렇게 만든다…“한 곡에 작곡가 16명”
    • 입력 2025-04-17 21:48:21
    • 수정2025-04-18 08:07:06
    뉴스 9
[앵커]

세계 대중음악을 선도하는 K-팝.

BTS나 블랙핑크의 노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작곡가 한 명이 아닌 세계 여러 나라의 작곡가들이 협업해 한 곡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K-팝 탄생의 비법, 김현수 기자가 공개합니다.

[리포트]

신나는 펑키 리듬.

즉흥적인 선율.

여기에 반주가 더해져 K-팝의 밑그림이 나옵니다.

투입된 작곡가만 4명, 연령대도, 국적도 모두 다릅니다.

이들의 개성과 장점을 모아 노래를 만드는 이른바 '송캠프' 방식입니다.

이 곡을 포함한 전체 프로젝트에 8개국 79명의 작곡가가 참가했습니다.

[로니 스벤슨/작곡가/노르웨이 : "나쁘진 않은데, 거기 조금만 바꿔보면 어때?"]

2주간 매일 별도의 팀을 구성해 85곡을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소피 힌츠/작곡가/미국 : "혼자서는 절대 못 만들 곡들인데, 미국이나 유럽 여러 나라들, 그리고 한국의 프로듀서와 작곡가,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면 가능해지죠."]

이렇게 탄생한 노래들.

BTS '불타오르네'.

에스파 '스파이시'.

소속 아티스트에게 직접 주거나, 다른 기획사에 팔기도 합니다.

[최진석/음악 퍼블리셔 이사 : "빌보드 1등을 했던 그런 작가들마저도 실제로 참여를 함으로써 그런 다양한 색깔을 K-팝 안에 녹여내는…."]

'송캠프' 방식이 처음 도입된 건 2012년, 지금은 대형 기획사 대부분이 집단 창작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세계 정상급으로 올라선 K-팝 시장에 전 세계 작곡가들이 이름을 올리기 위해 한국의 '송캠프'를 교두보 삼고 있습니다.

[제이콥 에런/작곡가/영국 : "여기 온 이유는 단 하나, K-팝 작곡가로서 경력을 쌓기 위해서죠."]

K-팝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끌어낸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송캠프'가 꼽히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영/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최창준/화면제공:하이브·SM엔터테인먼트·YG엔터테인먼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