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신규 아파트 1/3 ‘라돈’ 검출…주민들 불안
입력 2019.10.15 (21:24)
수정 2019.10.16 (13: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방사성 물질 라돈 공포, 아파트에서도 피할 수 없는 걸까요
세종 지역, 신규 아파트 단지 여러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라돈이 검출됐습니다.
조정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달 말 입주가 시작된 세종의 한 아파트 단지.
입주민이 안방 벽에 대고 직접 라돈을 측정해 보니 무려 36.1 피코큐리, 기준치 4 피코큐리의 9 배가 넘는 수치가 측정됩니다.
같은 아파트 다른 집 거실에선 라돈이 기준치의 열 두배를 넘긴 곳도 있습니다.
아파트 내벽과 욕실, 주방 등 마감재로 쓰인 천연석 재질에서 라돈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김현숙/아파트 입주예정자 : "모르고 들어갔을 때는 컨디션이 안 좋구나, 머리가 아프구나 이런 정도였겠지만 라돈이 이렇게 내가 들어갈 집에서 높게 나온 상태에서는 도저히 입주할 수가 없고.."]
세종시 조사결과 최근 5 년간 사용 승인된 세종시 신규 아파트 단지 60 군데중 라돈이 초과 검출된 석재를 마감재로 사용한 곳은 모두 22 군뎁니다.
무려 37 %.
새 아파트 3 곳 가운데 한 곳이 라돈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얘깁니다.
[이혁재/정의당 세종시당 위원장 : "실내 공기질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됩니다. 라돈 석재만 제거하면 문제가 없는건지, 아니면 실제로 콘크리트에서도 발생되고 있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건지.."]
하지만 법이 정한 실내 공기질 기준은 '권고'사항일 뿐이고 건축자재에는 아예 라돈 기준이 없습니다.
[조승연/연세대 라돈안전센터장 : "우리나라 골재는 (기준을)관리하기가 힘들고 외국에서 수입해오는 수입 대리석은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방사선 지수라는 걸 통해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
라돈 공포가 현실로 닥쳤지만 정부는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방사성 물질 라돈 공포, 아파트에서도 피할 수 없는 걸까요
세종 지역, 신규 아파트 단지 여러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라돈이 검출됐습니다.
조정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달 말 입주가 시작된 세종의 한 아파트 단지.
입주민이 안방 벽에 대고 직접 라돈을 측정해 보니 무려 36.1 피코큐리, 기준치 4 피코큐리의 9 배가 넘는 수치가 측정됩니다.
같은 아파트 다른 집 거실에선 라돈이 기준치의 열 두배를 넘긴 곳도 있습니다.
아파트 내벽과 욕실, 주방 등 마감재로 쓰인 천연석 재질에서 라돈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김현숙/아파트 입주예정자 : "모르고 들어갔을 때는 컨디션이 안 좋구나, 머리가 아프구나 이런 정도였겠지만 라돈이 이렇게 내가 들어갈 집에서 높게 나온 상태에서는 도저히 입주할 수가 없고.."]
세종시 조사결과 최근 5 년간 사용 승인된 세종시 신규 아파트 단지 60 군데중 라돈이 초과 검출된 석재를 마감재로 사용한 곳은 모두 22 군뎁니다.
무려 37 %.
새 아파트 3 곳 가운데 한 곳이 라돈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얘깁니다.
[이혁재/정의당 세종시당 위원장 : "실내 공기질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됩니다. 라돈 석재만 제거하면 문제가 없는건지, 아니면 실제로 콘크리트에서도 발생되고 있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건지.."]
하지만 법이 정한 실내 공기질 기준은 '권고'사항일 뿐이고 건축자재에는 아예 라돈 기준이 없습니다.
[조승연/연세대 라돈안전센터장 : "우리나라 골재는 (기준을)관리하기가 힘들고 외국에서 수입해오는 수입 대리석은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방사선 지수라는 걸 통해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
라돈 공포가 현실로 닥쳤지만 정부는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종 신규 아파트 1/3 ‘라돈’ 검출…주민들 불안
-
- 입력 2019-10-15 21:27:02
- 수정2019-10-16 13:45:21

[앵커]
방사성 물질 라돈 공포, 아파트에서도 피할 수 없는 걸까요
세종 지역, 신규 아파트 단지 여러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라돈이 검출됐습니다.
조정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달 말 입주가 시작된 세종의 한 아파트 단지.
입주민이 안방 벽에 대고 직접 라돈을 측정해 보니 무려 36.1 피코큐리, 기준치 4 피코큐리의 9 배가 넘는 수치가 측정됩니다.
같은 아파트 다른 집 거실에선 라돈이 기준치의 열 두배를 넘긴 곳도 있습니다.
아파트 내벽과 욕실, 주방 등 마감재로 쓰인 천연석 재질에서 라돈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김현숙/아파트 입주예정자 : "모르고 들어갔을 때는 컨디션이 안 좋구나, 머리가 아프구나 이런 정도였겠지만 라돈이 이렇게 내가 들어갈 집에서 높게 나온 상태에서는 도저히 입주할 수가 없고.."]
세종시 조사결과 최근 5 년간 사용 승인된 세종시 신규 아파트 단지 60 군데중 라돈이 초과 검출된 석재를 마감재로 사용한 곳은 모두 22 군뎁니다.
무려 37 %.
새 아파트 3 곳 가운데 한 곳이 라돈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얘깁니다.
[이혁재/정의당 세종시당 위원장 : "실내 공기질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됩니다. 라돈 석재만 제거하면 문제가 없는건지, 아니면 실제로 콘크리트에서도 발생되고 있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건지.."]
하지만 법이 정한 실내 공기질 기준은 '권고'사항일 뿐이고 건축자재에는 아예 라돈 기준이 없습니다.
[조승연/연세대 라돈안전센터장 : "우리나라 골재는 (기준을)관리하기가 힘들고 외국에서 수입해오는 수입 대리석은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방사선 지수라는 걸 통해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
라돈 공포가 현실로 닥쳤지만 정부는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
-
조정아 기자 right@kbs.co.kr
조정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