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가 육지로”…태풍에 피해 극심
입력 2019.10.15 (07:37)
수정 2019.10.15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달 초 우리나라를 휩쓸고 간 태풍 '미탁'은 주택가 뿐만 아니라 바다도 엉망으로 만들었습니다.
멀쩡했던 항구에 흙이 쌓여 마치 육지처럼 되는가 하면, 동해안 해변마다 수천 톤의 쓰레기가 밀려왔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태풍이 휩쓸고 간 작은 어촌.
항구에 정박했던 배가 모래 위에 올려져 있습니다.
원래 수심이 3미터 안팎이었는데 밀려든 토사에 육지처럼 돼버린 겁니다.
에메랄드빛이었던 바닷물은 벌써 열흘 넘게 흙탕물입니다.
[황두완/삼척 신남항 어촌계장 : "항 기능을 전혀 못 하지요. 왜냐하면 수심이 얕아져 가지고, 수심도 있고. 폐어망·어구들이 군데군데 떠 있어 가지고 (조업을 못해요)."]
이 마을 항구에 퇴적된 토사만 약 4만 톤.
5톤 트럭으로 8천 대 분량을 퍼내야 합니다.
이곳 역시 원래 배를 대는 항구였지만 지금은 마치 백사장처럼 변했습니다.
어선들이 고기잡이를 위해 항구를 드나들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바닷가를 따라 1킬로미터 넘게 쓰레기가 쌓여 있습니다.
태풍이 몰고 온 비바람에 떠밀려와 해변을 뒤덮은 겁니다.
주로 나뭇가지인데, 생활 쓰레기도 섞여 있습니다.
이런 쓰레기가 강원 동해안에만 약 2천 톤으로 추산됩니다.
[진선희/쓰레기 제거 작업 : "양이 엄청나요. 먼저도 한번 치웠는데 일주일 전에. 또 이렇게 모였어. 더 많이 모였어요."]
동해안 최대 규모인 해삼 배양장에도 토사가 유입되면서, 방류를 앞둔 어린 해삼 140만 마리가 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미탁이 지나간 지 벌써 열흘이 지났지만, 바다가 옛 모습을 되찾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이달 초 우리나라를 휩쓸고 간 태풍 '미탁'은 주택가 뿐만 아니라 바다도 엉망으로 만들었습니다.
멀쩡했던 항구에 흙이 쌓여 마치 육지처럼 되는가 하면, 동해안 해변마다 수천 톤의 쓰레기가 밀려왔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태풍이 휩쓸고 간 작은 어촌.
항구에 정박했던 배가 모래 위에 올려져 있습니다.
원래 수심이 3미터 안팎이었는데 밀려든 토사에 육지처럼 돼버린 겁니다.
에메랄드빛이었던 바닷물은 벌써 열흘 넘게 흙탕물입니다.
[황두완/삼척 신남항 어촌계장 : "항 기능을 전혀 못 하지요. 왜냐하면 수심이 얕아져 가지고, 수심도 있고. 폐어망·어구들이 군데군데 떠 있어 가지고 (조업을 못해요)."]
이 마을 항구에 퇴적된 토사만 약 4만 톤.
5톤 트럭으로 8천 대 분량을 퍼내야 합니다.
이곳 역시 원래 배를 대는 항구였지만 지금은 마치 백사장처럼 변했습니다.
어선들이 고기잡이를 위해 항구를 드나들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바닷가를 따라 1킬로미터 넘게 쓰레기가 쌓여 있습니다.
태풍이 몰고 온 비바람에 떠밀려와 해변을 뒤덮은 겁니다.
주로 나뭇가지인데, 생활 쓰레기도 섞여 있습니다.
이런 쓰레기가 강원 동해안에만 약 2천 톤으로 추산됩니다.
[진선희/쓰레기 제거 작업 : "양이 엄청나요. 먼저도 한번 치웠는데 일주일 전에. 또 이렇게 모였어. 더 많이 모였어요."]
동해안 최대 규모인 해삼 배양장에도 토사가 유입되면서, 방류를 앞둔 어린 해삼 140만 마리가 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미탁이 지나간 지 벌써 열흘이 지났지만, 바다가 옛 모습을 되찾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항구가 육지로”…태풍에 피해 극심
-
- 입력 2019-10-15 07:43:45
- 수정2019-10-15 09:14:11

[앵커]
이달 초 우리나라를 휩쓸고 간 태풍 '미탁'은 주택가 뿐만 아니라 바다도 엉망으로 만들었습니다.
멀쩡했던 항구에 흙이 쌓여 마치 육지처럼 되는가 하면, 동해안 해변마다 수천 톤의 쓰레기가 밀려왔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태풍이 휩쓸고 간 작은 어촌.
항구에 정박했던 배가 모래 위에 올려져 있습니다.
원래 수심이 3미터 안팎이었는데 밀려든 토사에 육지처럼 돼버린 겁니다.
에메랄드빛이었던 바닷물은 벌써 열흘 넘게 흙탕물입니다.
[황두완/삼척 신남항 어촌계장 : "항 기능을 전혀 못 하지요. 왜냐하면 수심이 얕아져 가지고, 수심도 있고. 폐어망·어구들이 군데군데 떠 있어 가지고 (조업을 못해요)."]
이 마을 항구에 퇴적된 토사만 약 4만 톤.
5톤 트럭으로 8천 대 분량을 퍼내야 합니다.
이곳 역시 원래 배를 대는 항구였지만 지금은 마치 백사장처럼 변했습니다.
어선들이 고기잡이를 위해 항구를 드나들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바닷가를 따라 1킬로미터 넘게 쓰레기가 쌓여 있습니다.
태풍이 몰고 온 비바람에 떠밀려와 해변을 뒤덮은 겁니다.
주로 나뭇가지인데, 생활 쓰레기도 섞여 있습니다.
이런 쓰레기가 강원 동해안에만 약 2천 톤으로 추산됩니다.
[진선희/쓰레기 제거 작업 : "양이 엄청나요. 먼저도 한번 치웠는데 일주일 전에. 또 이렇게 모였어. 더 많이 모였어요."]
동해안 최대 규모인 해삼 배양장에도 토사가 유입되면서, 방류를 앞둔 어린 해삼 140만 마리가 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미탁이 지나간 지 벌써 열흘이 지났지만, 바다가 옛 모습을 되찾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